경제·금융 은행

중고차도 현금부자만 사나…할부금융 문 닫고 금리 20%도

캐피털사, 자금경색에 대출 난색

PF 이어 신규취급 중단 잇따라

고신용자에도 10% 넘는 금리 적용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위험에 시달리는 캐피털사들이 PF는 물론 중고차 할부금융 등에도 대출 문을 걸어 잠갔다. 시중 중고차 할부금융의 평균 금리는 고신용자에게도 평균 10%대를 넘어서고 있다. 레고랜드발 단기 자금 경색에 캐피털사들이 사실상 중고차 할부금융 영업을 중단하고 있는 셈이다.

7일 여신금융 업계에 따르면 일부 중소형 캐피털사들이 중고차 할부금융 상품의 신규 취급을 사실상 중단하거나 심사를 강화하고 있다. 캐피털 A 사 측은 “그동안 제한적으로 제공해오던 중고차 할부금융의 신규 취급을 중단했다”며 “주력 상품도 아니고 자금 조달 비용까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는 트럭 등 중고 상용차의 할부금융 상품에 대해서도 대출 심사를 대폭 강화했다. 이 관계자는 “신용 등급이 높고 사업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이제는 대출을 받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대출 빙하기는 다른 캐피털사에도 마찬가지다. 캐피털 B사의 관계자는 “중고 상용차 할부금융에 대해서도 신규 취급을 중단한 것은 아니지만 금리를 대폭 올렸다”며 “심사 기준까지 강화한 것은 아니지만 금리 부담으로 대출 수요가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앞서 캐피털 업계는 급격한 금리 상승으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부동산 PF의 신규 대출을 중단하는 분위기였다. 이어 레고랜드 채무 불이행 사태로 채권 발행까지 차질을 빚게 되면서 다른 할부금융 상품으로까지 타격이 확산된 셈이다.

캐피털사의 할부금융 중단은 고신용자에게도 피해를 주고 있다. 중고차 할부금융의 경우 일시적 자금난에 캐피털사를 찾는 고신용자에게도 최고 20%에 가까운 고금리가 적용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신용 점수 900점 초과(NICE 기준)인 소비자가 중고차를 36개월 할부로 살 경우 최고 금리는 현대캐피탈이 19.5%, KB캐피탈이 15.9%로 높은 편이다. 7~9월 신규 취급한 자동차 중고 금융 상품의 평균 금리 또한 현대캐피탈이 11.87%, KB캐피탈이 11.49%, JB우리캐피탈이 11.22%로 11%를 넘었다.

아울러 중고차 대출금리가 치솟으면서 이를 악용한 각종 사기도 늘고 있다. 중고차를 대출로 산 뒤 대여해주면 대출 원리금을 대신 내고 임대 수익까지 보장해주겠다고 한 뒤 잠적하는 수법이다. 피해자들의 민원이 금융감독원에 제기되면서 금감원은 “(이 같은 사기 피해는) 대출 절차상 하자가 발견되는 경우가 드물어 피해 구제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금융 소비자들에게 유의를 당부했다.

구체적으로 거래 과정에서 이면 계약 체결을 요청받는 경우 반드시 거절하는 것은 물론 차량 매매 및 대출과 관련한 계약 절차는 직접 진행해야 원치 않는 계약이 체결되는 일을 막을 수 있다. 매매 대금은 차량 인수전에 지급하지 말고 인수와 동시에 지급해야 사기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그럼에도 사후에 사기 정황을 인지했다면 대출 실행일로부터 14일 이내에는 청약철회권 행사가 가능하므로 지체 없이 금융회사에 알려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김지영 기자·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