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소방청, "'이태원 참사' 당시 용산소방서장 지휘·상황 관리 적극 관여"

9일 정부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성호(가운데)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마치고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성호(가운데)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마치고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관련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입건된 최성범 용산소방서장과 관련해 소방당국은 용산소방서장이 지휘와 상황 관리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고 밝혔다.

이일 소방청 119대응국장은 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서장은 현장에서 200m 거리에 있는 이태원 파출소(119안전센터)에서 대기하고 있어 출동할 때 인지하고 지휘뿐만 아니라 관리, 상황 파악 등에 직접적, 적극적으로 관여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국장은 소방당국이 사고 발생 1시간여 전인 지난달 29일 오후 8시 37분과 오후 9시 1분에 경찰로부터 공동 대응을 요청받고 출동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공동대응 요청이 들어오면 무조건 출동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저희가 출동하지 않는 부분이라고 판단해서 종결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판단은 신고받은 상황실에서 했기 때문에 용산소방서장은 인지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태원 참사를 수사하는 경찰청 특별수사본부는 최 서장이 사고 당시 소방 대응 단계를 신속하게 발령하지 않은 경위를 파악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참사 당일인 지난달 29일 소방은 첫 압사 관련 신고가 있었던 오후 10시 15분에서 1시간이 가까이 지난 오후 11시 13분 인근 5~6개 소방서에서 인력과 장비를 동원하는 '대응 2단계'를 발동했다. 현장 지휘팀장이 10시 43분 대응 1단계를 발령한 후 2단계 상향까지는 30분이 걸렸다. 3단계 상향은 11시 48분이었다. 이에 대해 이 국장은 "2단계는 용산소방서장이, 3단계는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이 발령했다"고 말했다.

그는 촌각을 다투는 환자가 속출하는 상황에서 용산소방서장이 현장이 아니라 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순천향대병원을 임시 안치소로 지정한 것이 적절했는지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많은 사람이 사망자들의 사진을 촬영하는 등 현장 지휘와 질서유지에 방해가 있어 사망자를 가장 가까운 영안실 쪽으로 지정해서 보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망자 이송으로 부상자 처리에 지장이 초래되지는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 국장은 순천향대병원으로 이송된 95명 가운데 사망 판정을 받고 이송된 41명은 4명을 빼고 모두 응급실이 아닌 영안실로 바로 이송했다고 덧붙였다.

전날 경찰 압수수색 대상에서 제외된 행안부가 이번 참사에서 부적절하게 대응한 것은 없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저희가 소방 상황을 접수해 내부적으로 전파하는 과정에서 형식적인 대응 단계를 유지하다 보니 빠른 보고가 이뤄지지 못한 부분이 있는데 그런 부분을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