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조용병 회장 "간편 앱으로 디지털 유니버스 구현"

◆신한금융 '디지털 데이' 행사

역량 총동원 고객 니즈 파악

내년 여름 유니버설 앱 첫선

신한금융그룹이 9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디지털, 고객가치가 되다'라는 주제로 '신한 디지털 데이' 행사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조용병(왼쪽 여덟 번째) 신한금융그룹 회장, 김명희(〃 일곱 번째) 부사장과 발표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신한금융신한금융그룹이 9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디지털, 고객가치가 되다'라는 주제로 '신한 디지털 데이' 행사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조용병(왼쪽 여덟 번째) 신한금융그룹 회장, 김명희(〃 일곱 번째) 부사장과 발표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신한금융




“시기의 문제일 뿐 디지털금융은 하나의 플랫폼에서 모든 금융사의 상품을 추천·구매할 수 있는 오픈 파이낸스의 시대로 전환될 것입니다.”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9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디지털, 고객가치가 되다’라는 주제로 진행된 ‘신한 디지털 데이’ 행사에서 이같이 말하며 신한금융의 미래 디지털 전략을 발표했다. 신한 디지털 데이는 신한금융의 디지털 성과를 발표하고 공유하는 자리로 국내 금융권에서는 처음으로 열리는 행사다.



조 회장은 이날 신한금융의 미래 디지털 전략을 상징하는 ‘신한 유니버설 간편 애플리케이션’ 추진 전략을 소개했다. 그는 “빅블러의 시대에 고객의 관점에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미래를 다시 설계해야 했다”며 “데이터에 기반한 고객의 숨은 니즈를 파악, 그룹의 역량을 결집해 준비 중으로 내년 여름에 만나보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조 회장은 신한 유니버설 간편 앱의 핵심 키워드를 ‘신한’ ‘유니버설’ ‘간편’ ‘앱’이라는 4개의 키워드로 소개했다. 우선 신한 유니버설 간편 앱을 은행·카드·보험·증권 등 신한금융의 계열사가 제공하는 주요 금융 서비스를 한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신한금융의 플랫폼으로 만들 계획이다. 각각의 서비스는 연결과 통합을 넘어 유기적인 융합을 지향할 방침이다. 예컨대 은행에 저축을 하고 이 돈으로 바로 주식에 투자하는 한편 물건을 살 때 카드처럼 결제할 수 있는 앱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조 회장은 “고객은 어느 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인지 알 필요가 없고 원하는 서비스를 ‘심리스’하게(중단 없이) 처리할 수 있다”며 "이것이 우리가 새롭게 정의한 ‘유니버설’”이라고 밝혔다.

신한금융은 새로운 앱을 은행·카드·보험·증권 등 신한금융의 계열사가 제공하는 주요 금융 서비스를 한곳에서 제공하되 기존처럼 ‘백화점’식이 아닌 고객이 필요한 핵심 서비스만을 추려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앱으로 만들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조 회장은 즐거운 금융 생활을 강조했다. 그는 “쇼핑하듯 쉬운 투자, 게임하듯 재미있는 서비스,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제공하겠다”며 “더 자주, 더 오래 머물고 싶은 앱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 기조연설에 나선 권대영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은 디지털 전환과 관련한 정부 정책을 소개한 뒤 “복합 위기 가능성에 대비하면서 먼 미래를 위해 규제 개혁을 해나가겠다”며 “현재의 디지털 규제는 스마트폰이 나오기 전의 체제로 쉽지 않겠지만 바꿔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이 이날 행사에서 새로운 유니버설 뱅킹 앱 ‘신한 유니버설 간편 앱’의 추진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신한금융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이 이날 행사에서 새로운 유니버설 뱅킹 앱 ‘신한 유니버설 간편 앱’의 추진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신한금융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