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카카오 화재 보상 플랫폼 구축…“책임 있는 자세 보여야” 질책도

소상공연 집계 피해만 2117건

“협의 플랫폼 구축해 보상 논의”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10일 국회에서 열린 ‘카카오 화재로 인한 소상공인 대책마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10일 국회에서 열린 ‘카카오 화재로 인한 소상공인 대책마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10일 카카오 화재로 인한 소상공인 피해 보상을 위해 ‘보상 협의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정책위원회는 이날 국회에서 ‘카카오 화재로 인한 소상공인 대책마련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간담회에는 소상공인연합회는 물론 홍성철 카카오 ESG지원실 부사장도 참석했다.

관련기사



성 정책위의장은 간담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정부에 보다 적극적으로 피해 보상을 중재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피해 보상과 관련해 단일한 창구가 없는 것이 문제”라며 “당에서 피해 당사자인 소상공인과 카카오 그리고 정부 측이 함께 협의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 자주 회합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소상공인연합회에 따르면 카카오 데이터 센터 화재 사고가 난 직후인 지난달 17일부터 약 2주동안 접수된 피해가 2117건에 달한다. 결제 불가로 인한 매출 감소·톡채널 마비에 따른 주문 접수 중지·배달 중지 등이 대표적인 피해 사례다. 카카오는 “최대한 빠르게 보상 협의를 시작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피해 보상과 관련된 내규나 약관이 없어 제대로된 보상이 쉽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날 국민의힘은 카카오가 소상공인 피해 보상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을 질책하기도 했다.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은 “카카오 내부에 소상공인 피해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돼있다. 그런데 위원장이 나오지 않고 ESG지원실 부사장이 나온 것에 대해 강하게 책임을 물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성 의장은 “(카카오가) 여러가지 준비를 해오고 접수받은 피해에 대해 나름의 분석도 해오는 등 책임있는 모습을 보이길 기대했는데 그러지 못해 문제가 상당하다고 봤다”며 “국회의원이 국민을 대변해 자리를 마련한 것인데 (카카오가) 성의가 없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