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옐런 "강달러 세계적 여파 인정…개도국 부채 우려"

연준은 여전히 금리 인상 지속 예고

월러 이사 “아직 금리 인상 갈 길 남아”

데일리 연은 총재도 "금리 5% 넘을 것"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14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경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14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경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미 달러화 강세의 전 세계 여파를 인정하며 개발도상국의 부채 문제를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13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인도네시아 발리를 방문 중인 옐런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리의 정책에는 부정적인 여파(스필오버)가 있으며 당연히 많은 국가가 미국 정책의 부정적 여파에 따른 강달러와 자국 환율 문제에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저소득 국가들의) 부채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가파른 금리 인상과 그에 따른 달러화 강세로 세계 각국은 달러화 표시 수입품 가격 상승과 달러화 부채 상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블룸버그는 연준의 물가 대응에 지지 의사를 표명해온 옐런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미국 경제정책의 세계적 여파에 대해 인지하고 있음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평했다. 옐런 장관은 지난달 “시장에서 결정되는 달러 가치는 미국의 이익에 부합한다”면서 “달러 강세는 (미국의) 적절한 정책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지난달 개최된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서도 강달러의 여파를 인정하면서도 미 행정부의 최우선 정책 과제가 물가 잡기에 있다고 못 박았다.

관련기사



옐런 장관은 또 한국·유럽연합(EU)산 전기차를 보조금 혜택에서 제외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관련해서도 법의 테두리 안에서 각국의 우려에 대해 다룰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IRA로 그들이 혜택을 얻을 방안을 설명할 준비도 돼 있다”고 말했다.

한편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14일 호주에서 진행한 한 연설에서 “기준금리가 계속 오르고, 인플레이션이 목표치(2%)에 가깝게 내려갈 때까지 당분간 높은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면서 “아직 갈 길이 남았고 향후 1∼2회 회의 만에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매파’로 분류되는 월러 이사는 앞으로 인플레이션 둔화 신호가 지속적으로 관찰돼야 하며 중요한 것은 금리 인상 속도보다 최종적인 금리 수준으로, 이는 순전히 인플레이션의 진행 상황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비둘기파’인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금리 인상의 속도가 아니라 수준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면서 연준의 속도 조절이 이뤄져도 금리의 정점 수준은 예상보다 높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기준금리가) 최소 5%는 넘을 것이라고 본다”고 예상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