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창양의 '친원전 승부수'… 원전국 라인 전면교체[양철민의 경알못]

원전국, '1국장-5과장' 체제로 개편

수출진흥과장 外 5명의 국·과장 교체

180도 바뀐 정부정책.. 새 술은 새 부대에

'원전의 정치화'.. 장관이 방패막이 역할해야

업무강도 높고 야근잦아.. 사기진작책도 필요

지난달 31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폴란드 원전 개발 관련 협약식에서 이창양(왼쪽) 산업부 장관과 야체크 사신 폴란드 부총리 겸 국유재산부 장관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지난달 31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폴란드 원전 개발 관련 협약식에서 이창양(왼쪽) 산업부 장관과 야체크 사신 폴란드 부총리 겸 국유재산부 장관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가 ‘원전산업정책국’ 소속 인사를 반년여만에 대거 교체했다. 원전국은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인 ‘친원전’ 정책의 핵심으로 이 같은 인사안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세종 관가에서는 ‘새 술은 새 부대’에 담는다는 취지의 인사로 풀이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지나친 인사 변동으로 업무 연속성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한다.



15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산업부는 10개월 동안 원전국을 이끌었던 박동일(40회) 국장을 제조산업정책관으로 임명하고, 신임 원전국장에는 이승렬 전 정책기획관을 임명했다. 박 국장은 산업부 내에 최고 ‘에이스 라인’으로 꼽히는 행정고시 40회로, 몇 수 앞을 내다보는 기획능력과 훌륭한 인품으로 선후배들 사이에서 신망이 높다. 원전국이 이른바 ‘고생하는 3D 업종’으로 분류되는 만큼 산업부 내에서는 박 국장이 사실상 ‘영전’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번에 새롭게 원전국을 이끌게 된 이승렬 국장 또한 행시 40회다. 원전 쪽 업무는 처음이며 에너지 쪽 업무 또한 ‘자원개발전략과장’을 역임한 것 외에는 특별한 커리어가 눈에 띄지 않는다. 다만 원전이 문재인 정부에서 단순 에너지원이 아닌 정치적 이슈가 되면서, 대관업무를 맡으며 탁월한 정무감각을 발휘했던 이 국장이 신임 원전국장직에 최적임자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 국장 또한 꼼꼼한 일처리와 탁월한 업무역량으로 잘 알려져 있다.

최근 몇달 새 원전국 내 과장급 인사들 또한 대거 교체됐다. 원전국 총괄 과장에는 영국 상무관 출신인 문상민(46회) 과장이 두달 전부터 보직을 수행중이다. 산업부 내 주요국 총괄 과장을 주로 42회나 43회가 맡고 있다는 점에서 문 과장 선임에 대해 ‘발탁인사’라는 평가도 나왔다. 문 과장은 사무관 시절에도 원전국에서 일해 관련 경험이 풍부하며 학구적이면서도 책임감이 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사용후 핵연료 처리 문제 등을 담당하는 원전환경과장은 박태현 과장(47회)이 두달 전 신규 선임돼 일하고 있다. 박 과장은 업무 처리 센스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으며 선후배들과의 소통능력은 부서 내 최고수준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원전지역협력과 또한 국가에너지효율혁신전략(KIEE) 팀장 등을 역임한 산업·에너지 베테랑인 권기성(47회) 과장으로 지난달 교체 됐다.



지난달 신설돼 주목을 받았던 원전수출지원과장은 문준선(49회) 과장이 맡고 있다. 이로써 원전국은 ‘1국장 4과장’ 체제에서 ‘1국장 5과장’ 체제로 바뀌었다.

관련기사



문 과장은 2년전 ‘포스트 한일경제전쟁’이라는 책을 저술한, 소재·부품·장비 전문가다. 문 과장은 원전을 처음 담당하게 됐지만, 산업부 내에서는 ‘어떤 업무를 맡든 해당 업무의 전문가 만큼 파고든다’는 평가를 받는 만큼 ‘원전수출 전문가’로 불리울 날이 머지않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로써 최근 6개월새 원전국 내에서 김태우(45회) 원전수출진흥과장을 제외하면 국장 1명과 과장 3명 등 과장급 이상 4명이 교체되고, 과장급 1명이 신규 보직을 받게 됐다. 올 2월에 원전국으로 자리를 옮긴 ‘원전 9개월 차’ 김태우 과장이 원전국 내 최고참(이전 원전국 근무경험 제외)인 셈이다.

이 같은 원전국 전면 교체와 관련해 원전 산업 육성에 매진 중인 이창양 장관 및 박일준 2차관의 의지 외에, 대통령실의 의중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기존 원전국 직원들도 산업부 내에 이른바 ‘에이스급’으로 평가받는 이들로 구성되기는 했지만, 이전 정부와 현 정부의 원전 정책이 180도 바뀐만큼 인력교체가 필요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다만 원전국 사기를 높이기 위한 조치가 추가 단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산업부는 원전 수출을 전담할 ‘원전수출국’ 신설을 추진했지만 결국 그보다 규모가 한단계 낮은 ‘원전수출지원과’를 신설하는데 그쳤다.

특히 원전국은 최근 몇년간 검찰 수사 및 정치적 논란 등으로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보상은 제대로 못받는다’는 불만이 상당했다. 이 때문에 산업부 직원들 사이에서는 “원전국에 배치받더라도 가능한 빨리 탈출해야 한다”며 정권을 막론하고 ‘탈원전(원전국 탈출)’을 부르짖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 올 초만 하더라도 원전국이 인사평가에서 낮은 점수인 ‘C’ 등급을 받아 논란이 상당했다. 문재인 정부 5년간 진행된 ‘탈원전’ 정책에 따라, 각종 정책에 대한 홍보를 제대로 하지 못해 정량평가 점수가 낮았던 것이 이같은 낮은 인사고과로 이어졌다. 문승욱 전 장관이 이 같은 인사평가 결과를 뒤늦게 보고 받은 후 “고생하는 원전국 직원들에게 이래서는 안된다”며 인사평가 등급을 한단계 높여준 것으로 알려졌지만, 각종 정치리스크 등이 여전한만큼 원전국 기피 현상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때문에 장관이 정치권이나 시민단체의 원전 관련 공세로부터 산업부 직원들을 방어해주는 ‘방패막이’ 역할을 확실히 해 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세종=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