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美 전직관료들 "北 핵 도발 계속되면 사드 추가 배치 가능성"

中 '북한 제어' 회의론 부상에

美 전직관료, 대응 카드 전망

14일(현지 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이날 3시간가량 첫 대면 회담을 진행한 두 정상은 경제정책·대만 문제 등을 놓고 대립했지만 양측 간 이해관계가 첨예하지 않은 국제적 현안에 대해서는 대화를 지속하기로 합의했다. 발리=로이터 연합뉴스14일(현지 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이날 3시간가량 첫 대면 회담을 진행한 두 정상은 경제정책·대만 문제 등을 놓고 대립했지만 양측 간 이해관계가 첨예하지 않은 국제적 현안에 대해서는 대화를 지속하기로 합의했다. 발리=로이터 연합뉴스




미국이 중국을 향해 북한이 도발을 지속한다면 추가 방어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한 가운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국 추가 배치가 그 대응 카드로 떠오르고 있다.



1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데니스 와일더 전 백악관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은 역내 미군 주둔 강화 방안으로 한반도 사드 추가 배치가 가능하다는 전망을 내놨다.

관련기사



그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이 고도화되고 있어 사드 추가 배치는 합리적인 조치”라며 “북한이 전술핵무기를 배치하기 시작하면 미국은 B 1B 전략폭격기 등을 한국에 재배치하고 한국·일본과 핵 준비 논의를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 시간) 미중 정상회담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북한을 제어할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며 추가 방어 조치 가능성을 언급한 데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해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 정책조정관도 “북한이 핵 역량 개발을 지속하면 미국은 중국이 원하지 않는 사드 추가 배치 등 미사일방어 강화에 나설 수 있다”고 봤다.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사령관은 “미 항공모함·전략폭격기 등 미국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가 자주, 그리고 길게 이뤄지거나 일시적으로 미 육군 및 해병대가 추가 배치되는 등의 방법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한미일 정상이 북핵 경보 정보를 공유하기로 한 것이 한국에 도움이 된다는 분석도 있다. 브루스 베넷 미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오히려 일본이 북한의 신형 단거리탄도미사일(KN 23)의 궤도를 정확히 볼 수 있는 더 나은 위치”라고 주장했다.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