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특수본, 행안부·서울시청 압수수색

이태원 참사 수사 '윗선'으로 확대

이태원 참사를 수사하는 경찰 특별수사본부가 17일 오후 서울시청 안전총괄과에서 압수수색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이태원 참사를 수사하는 경찰 특별수사본부가 17일 오후 서울시청 안전총괄과에서 압수수색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청 특별수사본부가 17일 행정안전부와 서울시청,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를 압수수색했다. 용산경찰서와 용산구청 등 관할 기관에 머물던 특수본 수사가 행안부와 서울시 등 상위 기관으로 확대되는 모양새다.



특수본은 이날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 서울상황센터 등 22곳에 수사관 65명을 보내 핼러윈 관련 보고서와 이태원 사고 대응자료 등을 확보했다. 서울상황센터와 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안전관리정책관실 등 12곳이 대상이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의 집무실은 이번 압수수색 대상에서 제외됐다.

관련기사



특수본은 압수수색 자료를 통해 행안부와 이 장관이 경찰 지휘·감독 책임자로서 지위와 재난을 예방·수습할 직접적인 법적 책임이 있는지 파악할 방침이다. 이 장관이 단순히 경찰을 지휘·감독하는 수준을 넘어 재난 발생에 직접 책임을 지는 당사자로 인정되면 직무유기,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가 적용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수본은 이와 함께 서울시청 안전총괄과·안전지원과 등 8곳도 압수수색했다. 재난법상 재난 예방에 1차 책임을 지는 서울시가 적절한 핼러윈 대비 안전대책을 수립했는지를 따져볼 계획이다. 서울시가 안전 대비를 소홀히 해 참사가 발생했다는 인과관계가 확인되면 오세훈 서울시장까지 수사가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특수본은 또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에도 수사관을 투입했다. 자치경찰위원회는 용산경찰서로부터 핼러윈 안전대책 관련 보고를 받고도 사전 예방 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받는다. 참사 발생 약 10시간 뒤에 첫 대책 회의를 열었고 별도로 사전 대책도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강동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