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게딱지' 등장에 문과생도 당혹…국어 17번 '킬러문항' 뭐길래

2023학년도 수능 국어 17번 문항. 사진=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3학년도 수능 국어 17번 문항. 사진=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사회와 과학을 융합한 국어 영역 지문의 문제들이 ‘킬러 문항(초고난도 문항)’으로 꼽혔다.



18일 복수의 입시업체들이 꼽은 수능 고난도 문제는 ‘클라이버의 기초 대사량 연구’를 소재로 한 국어영역의 17번 문항이다.

이 문항의 제시문은 농게의 게딱지 폭을 이용해 큰 집게발의 길이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지문에 제시된 ‘L-그래프’를 문제의 ‘보기’와 접목해야 수월하게 풀 수 있는 구조였다. 지문 길이도 1800자가 넘고, 최근 출제되지 않은 그래프 해석까지 따라왔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이게 국어문제 맞나”, “전형적인 사고력 문제다. 이런 문제 많이 나와야 한다”, “수험생들 고생했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관련기사



그러나 이 같은 ‘킬러 문항’의 수준은 작년 수능보다 쉬워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 때문에 최상위권에서 국어 변별력은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2023학년도 수능 수학 22번 문항. 사진=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3학년도 수능 수학 22번 문항. 사진=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학영역에선 수열의 귀납적 정의를 활용해 최댓값·최솟값을 구하는 15번 문항과 함수의 최솟값을 이용해 3차 함수를 추론한 뒤 값을 구하는 22번 문항의 난도가 최고난도 문항으로 꼽힌다.

영어영역에선 빈칸을 추론하는 34번, 글 순서를 묻는 37번 문제가 높은 수준의 추론 능력을 필요로 해 수험생이 까다롭게 느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문장을 삽입하는 39번도 낯선 소재의 내용이어서 학생들이 당황했을 것이란 평가가 있다.

한편 문·이과 통합 2년차로 치러진 올 수능은 ‘불수능’으로 평가받은 지난해 수능보다는 다소 쉬워진 것으로 분석됐다.

수능을 마친 수험생은 오는 21일 오후 6시까지 평가원 이의신청 전용 게시판을 활용, 문제와 정답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성적표는 12월 9일 수험생에게 통지된다.


정미경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