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EU 탄소국경제 기업에 고통"…손경식, 정부에 대비책 요청

■2022 제2차 ESG 경영위원회

탄소무역 관해 민관협력도 강조

손경식(앞줄 왼쪽 여섯 번째)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22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경총 주최로 개최한 제2차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위원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금한승(앞줄 왼쪽부터)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 손영식 신세계 대표이사, 조현일 한화 컴플라이언스위원회 사장, 김정각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 손 회장, 가삼현 한국조선해양 부회장, 김광일 금융위 공정시장과장, 이동근 경총 부회장. 사진 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손경식(앞줄 왼쪽 여섯 번째)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22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경총 주최로 개최한 제2차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위원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금한승(앞줄 왼쪽부터)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 손영식 신세계 대표이사, 조현일 한화 컴플라이언스위원회 사장, 김정각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 손 회장, 가삼현 한국조선해양 부회장, 김광일 금융위 공정시장과장, 이동근 경총 부회장. 사진 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




손경식(사진)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22일 “현실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은 기업들에 많은 도전과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며 “탄소 무역장벽은 국가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민관이 함께 극복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손 회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2년도 제2차 ESG 경영위원회에서 기업들의 ESG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하면서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손 회장은 또 국제사회의 기후 영향을 반영한 공시 기준 마련과 관련, “기술적 어려움이 클 뿐만 아니라 미래 영향을 반영한 정보가 과연 유용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정부와 산업계 간 긴밀한 소통을 제안했다.

관련기사



금한승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실체적 기후위기 앞에 글로벌 공급망 편입과 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ESG 경영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금 실장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와 환경정보공개제도, 자금·융자 지원 사업 등 정부의 ESG 지원 정책과 향후 추진 계획을 설명했다.

김정각 금융위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도 “코로나19 팬데믹과 기후변화 등 과거에 생각하지 못했던 ESG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다”며 “정부는 기업과 함께 새로운 시대적 흐름에 적극 대응해나가기 위해 ESG 공시·평가·투자로 이어지는 ESG 생태계 조성 전반에 걸쳐 글로벌 논의에 적극 참여하고 제도 기반을 확충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위원들은 정부의 실효성 높은 환경 경영 지원과 현실성 있는 공시 기준 마련을 촉구하는 한편 저탄소·순환경제 전환을 위한 지원 확대와 합리적 규제 개선을 요청했다. 구체적 개선 과제로 재생에너지 공급량의 조기 확대, 산업별 표준 전과정평가(LCA) 데이터 검증 표준화와 관련 정보의 국제적 인정 필요성, 대기업의 중견·중소기업 ESG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금융지원 확대, 친환경 선박 인증 획득 주체를 해운사 외에 제조사로 넓히는 방안 등을 제안했다.

한편 지난해 4월 출범한 ESG 경영위원회에는 10대 그룹을 포함한 국내 주요 그룹 17개사 대표이사 사장단이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참여 그룹의 국내 계열사만 1047곳에 이른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