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해수부, 세계 6번째 남극 내륙기지 만든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이 2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에서 제1차 극지 진흥활동 기본계획 수립 관련 사전 브리핑을 마친 뒤 강성호 극지연구소장으로부터 쇄빙선 아라온호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이 2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에서 제1차 극지 진흥활동 기본계획 수립 관련 사전 브리핑을 마친 뒤 강성호 극지연구소장으로부터 쇄빙선 아라온호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2030년까지 세계 여섯 번째로 남극 내륙 기지를 구축한다. 1만 5000톤급 쇄빙 연구선을 건조해 아시아 최초 고위도 북극해 연구도 주도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이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고 22일 밝혔다. 남북극을 포괄해 과학 연구, 경제활동, 국제 협력, 인력 양성 등 극지 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첫 법정 기본 계획이다.

관련기사



정부는 2027년까지 내륙 연구 최적 거점을 기지 후보지로 선정해 2030년 남극 내륙에 세계 여섯 번째로 기지를 건설한다. 앞선 남극 내륙 기지는 미국, 러시아, 일본, 프랑스·이탈리아(공동), 중국이 세운 5곳이다. 세종과학기지·장보고과학기지에 이은 한국의 세 번째 남극 기지이기도 하다.

사람의 손이 닿지 않은 남극 내륙은 연구 가치가 충분하지만 빙하가 갈라져서 생기는 틈인 크레바스를 피해야 하는 등 고난도 탐사 기술이 필요하다. 100만 년 전의 공기가 그대로 담긴 3000m 깊이의 심부 빙하 시추와 빙하 2000m 아래에 있는 호수(빙저호) 시추에도 도전한다. 과거 지구 기후변화 정보와 미지의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2774억 원을 투입해 2026년까지 1만 5000톤급 차세대 쇄빙 연구선도 건조한다. 차세대 쇄빙 연구선은 1.5m 두께의 얼음을 3노트(5.6㎞/h)의 속도로 깰 수 있어 1m 두께까지만 가능한 아라온호가 진입하기 어려웠던 북위 80도 이상의 고위도 북극해까지 진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2027년부터는 아시아 최초로 북극점을 포함한 북극해 국제 공동 연구를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