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금융 위험 요소 점검…경제위기 조기 극복 방안 논의

23일 경제위기 대응 위한 금융기관 간담회

위기 대응력 제고…신속 지원대책 발굴 논의

부산시가 고금리, 고환율, 고물가 복합 경제위기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의 모습./연합뉴스부산시가 고금리, 고환율, 고물가 복합 경제위기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의 모습./연합뉴스




부산시는 23일 시청 회의실에서 6개 시중은행, 5개 정책금융기관, 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금융 위험 요소 점검 회의를 열고 3고(고금리·고환율·고물가) 복합 경제위기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박형준 시장은 주요국의 통화 긴축 전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국제 원자재 가격상승 등으로 대외 위기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경기침체에 대한 시장의 우려, 금리상승에 따른 가계 및 기업 부채 증가, 레고랜드 발 기업의 자금 경색 악화 등 위기에 따른 지역 경제의 충격 최소화를 위해 시급한 대책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관련기사



회의에서는 지역 금융시장 동향과 주요 위험 요인들을 짚어보고 언제든 위기가 현실이 될 수 있다는 긴박함으로 위기 대응 여력을 살펴볼 예정이다. 또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급증한 가계·자영업자 부채의 금융기관별 연착륙 방안, 레고랜드 발 금융시장 자금조달 방안, 금리인상 국면에서 금융비용 증가 문제로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는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이에 대한 시중은행, 정책금융기관들의 전향적인 협조를 당부할 예정이다.

시는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침체 등의 상황에 기민하게 대처하기 위해 ‘경제위기대응본부’를 선제적으로 가동하고 있다. 또 올해 1월부터 총 1조 7000억 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운영해 대외 경제위기 발생 때마다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신속한 경영회복 지원과 중소기업의 유동성 지원으로 지역경제 안전망을 강화하고 있다.

박 시장은 “현재의 경제 상황을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생에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마련하는 데 더욱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