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룩셈부르크 대공세자 '한국인 참전용사' 만났다

6·25때 룩셈부르크군 배속됐던

96세 김성수 옹 만나 환담 가져

[국가보훈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국가보훈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방한 중인 룩셈부르크 대공세자가 6·25전쟁 당시 룩셈부르크군에 배속돼 싸웠던 한국인 참전 용사와 만났다.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은 29일 서울 전쟁기념관에서 룩셈부르크 기욤 장 조제프 마리 대공세자 일행과 6·25전쟁 룩셈부르크 참전비에 참배했다. 이날 행사에는 전쟁 당시 룩셈부르크 소대에 배속됐던 참전 유공자 김성수(96) 옹도 참석해 기욤 대공세자와 만나 환담했다.

관련기사



김 옹은 1951~1953년 벨기에 대대 A중대 룩셈부르크 소대에 소속돼 전장을 누볐다. 그는 이번 행사에서 룩셈부르크 참전 용사들의 용기와 희생에 대한 기억을 전했다. 기욤 대공세자는 김 옹에게 감사의 메시지와 함께 왕실을 상징하는 특별 선물을 증정했다.

파병 당시 룩셈부르크의 인구는 20만여 명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전투 병력 100명을 파병(연인원 기준)해 인구 대비로는 22개 참전국 중 가장 많은 인원을 보낸 것으로 집계됐다. 룩셈부르크 소대는 1951년 1월 31일∼1951년 8월 25일 활동한 제1차 분견대와 1952년 3월 28일∼1953년 1월 7일의 제2차 분견대로 구분됐다. 해당 소대는 학당리전투·잣골전투 등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2명이 전사하고 13명이 다치기도 했다. 현재 룩셈부르크 참전 용사 중 생존자는 6명이다.

박 처장은 룩셈부르크와 함께 내년에 6·25 정전 70주년 사업의 성공적 추진과 양국 우호 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기욤 대공세자와 다양한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우리 정부의 6·25전쟁 유엔 참전 용사 재방한 프로그램은 1975년부터 시작됐다. 지금까지 참전 22개국에서 3만 3751명이 초청됐다. 그중 룩셈부르크에서는 참전 용사 및 유족 150명이 방한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