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정부, 화물연대 운송거부에 정유분야에서도 업무개시명령 검토

전국 품절 주유소 23개소…수도권 집중

12월 1일부터 군용·수협 보유 탱크로리 18대 긴급투여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총파업이 이어지고 있는 29일 오전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휘발유 품절 안내문이 붙어있다. 연합뉴스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총파업이 이어지고 있는 29일 오전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휘발유 품절 안내문이 붙어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12월 1일부터 군용 탱크로리와 수협 보유 탱크로리 18대를 긴급 투여한다.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사태에 따라 휘발유 품절 주유소가 늘어난 데 따랐다. 정부는 시멘트 분야에 이어 정유 분야에서도 업무개시명령 발동을 검토하고 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30일 서울 내 휘발유 품절 주유소 현장을 방문해 이 같이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사태가 7일차에 접어들며 수도권 중심으로 저장용량 대비 판매량이 많은 일부 주유소들은 휘발유와 경유가 품절되는 상황이 빚어지고 있다. 이날 오전 8시 기준 전국의 품절 주유소는 23개소로 서울에 15곳, 경기에 3곳, 인천에 2곳, 충남에 3곳 분포한다.



이 장관은 현장 관계자들과 면담을 통해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로 인한 석유제품 유통 차질 등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업계의 경제적 피해와 일반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관련기사



산업부는 24일부터 즉각적으로 유법민 자원산업정책국장을 반장으로 한 ‘정유업계 비상상황반’을 구성·운영하고 있다. 정유공장·저유소 등 주요거점별 입·출하 현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수송차질이 있거나 우려되는 경우 정유사간 협조, 화물연대 미가입 차량 등을 활용한 비상수송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또한,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가 지속되면서 석유제품 수송차질이 점차 심화될 상황에 대비해 군용 탱크로리(5대), 수협 보유 탱크로리(13대)를 다음달 1일부터 긴급투입해 운영해 나갈 예정이며, 추가 대체수송수단을 확보하기 위한 협의도 진행중이다.

정부는 전날 기준 전국 주유소 재고가 휘발유는 8일분, 경유는 10일분 가량인 것으로 각각 파악 중이다. 또 품절 주유소 현황 정보를 이날부터 매일 오후 4시께 ‘오피넷’을 통해 안내하고 재고가 없는 주유소는 ‘네이버 지도’나 ‘티맵’ 등 온라인 지도서비스에 표시되지 않도록 조치했다.

이 장관은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로 인한 품절 주유소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대응 중이며, 관계부처, 유관기관, 업계 등과 긴밀히 협력하면서 필요한 수단을 총동원하고 있다”며 “화물연대가 조속히 업무에 복귀해야 하며, 필요시 시멘트 분야에 이어 정유 분야에도 업무개시명령 발동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