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對南 감시 능력 과시 의도…"군사용으로 보기엔 조악"

[北, 정찰위성 촬영 사진 공개]

시험품 탑재 500㎞ 고각발사

ICBM 운용 능력 강화 속도전

북한이 위성시험품 탑재체에서 촬영했다고 19일 공개한 용산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삼각지 일대. 연합뉴스북한이 위성시험품 탑재체에서 촬영했다고 19일 공개한 용산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삼각지 일대. 연합뉴스




북한이 18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 단계의 중요 시험을 했다고 19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북한은 위성시험품에서 촬영했다는 서울과 인천항 모습도 공개했다. 사진에는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주변을 비롯해 인천 송도 센트럴파크 등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군사용 정찰위성으로 촬영했다고 보기에는 조악한 수준이어서 그 진위를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사진 공개를 통해 남측에 대한 감시 능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다.

통신은 이날 “20m 분해능 시험용전색촬영기 1대와 다스펙트르촬영기 2대, 영상송신기와 각 대역의 송수신기 등을 설치한 위성시험품을 운반체에 탑재해 고도 500㎞까지 고각 발사시켰다”고 전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이번 로켓 발사가 ‘정찰위성 발사의 최종 관문 공정’”이라며 “2023년 4월까지 군사 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고 했다. 합참은 전날과 같이 북한이 준중거리 탄도미사일(MRBM) 2발을 발사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반면 일본은 “정찰위성에 관한 무언가의 시험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 북한의 주장에 신빙성을 높였다.

관련기사



북한도 이번 발사가 정찰위성용임을 강조하려는 듯 서울과 인천항 등 일대를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공개된 흑백사진을 확대하면 용산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삼각지 일대가 어렴풋이 확인된다. 북한 중앙통신은 “최적의 환경에서 자료 전송 장치들의 처리 능력과 안전성 정도를 평가했다”며 정찰위성으로 사진이 촬영됐음을 부각했다.

북한이 위성시험품 탑재체에서 촬영했다고 19일 공개한 인천과 서울 사진. 연합뉴스북한이 위성시험품 탑재체에서 촬영했다고 19일 공개한 인천과 서울 사진. 연합뉴스


사진의 진위 여부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20m 분해능(상 식별 능력)은 정찰위성에 한참 못 미친다고 일축했다. 장영근 항공대 교수는 “전체적으로 20m 해상도의 전자광학 카메라 개발 및 시험 검증 항목을 볼 때 북한의 위성 기술 수준은 10여 년 전 광명성 3·4호 수준에서 진전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며 “특히 전자 부품 및 소재 기술이 제한적인 북한 입장에서는 위성 기술의 신속한 발전을 기대하기 힘들다”고 평가했다.

진위를 떠나 자신들의 정보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라는 분석도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너희(남한)만 위성이 있는 게 아니다. 우리도 너희를 내려다볼 수 있다고 일종의 조롱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총장은 “진위를 떠나 서울과 인천 사진을 공개한 것은 이번 발사가 탄도미사일이 아니라 정찰위성임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보인다”며 “정찰위성 개발을 마치면 남한 주요 지역을 모두 탐지할 수 있다고 예고하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이 그동안 인공위성 발사를 명목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 기술을 개량해왔다는 점에서 이번에는 정찰위성을 앞세워 ICBM 운용 능력 강화의 속도전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