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러, 북핵 위협 질문에 "핵보유국 지위는 5개국뿐" 강조

"핵대결 피하는 데 집중해야…

평화유지체제만이 신뢰가능한 해법"


러시아는 한반도 주변 상황의 관련 당사자들이 모두 핵대결을 피해야만 한다는 입장으로 핵확산금지조약(NPT)을 준수하고 있다고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이 28일(현지 시간) 밝혔다.

북한의 미사일. EPA 연합뉴스북한의 미사일. EPA 연합뉴스





러시아 관영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랴브코프 차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이 핵 대결을 피하는 데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동북아에서 핵 대결이 벌어질 전망에 대해 언급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핵을 포함한 산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평화유지체제를 만드는 것만이 신뢰할 수 있는 해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랴브로프 차관은 “북한의 핵 보유국 지위를 인정할 것이냐는 가정적 질문에 대해서는, 러시아는 오직 '빅 5' 국가에만 핵 보유국 지위를 인정하고 있는 NPT를 전적으로 준수하고 있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고자 한다”며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공식 인정할 수 없다는 점을 에둘러 표현하기도 했다.

NPT는 1967년 1월 1일 이전 핵실험과 핵개발을 마친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만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한다. 이들 5개국은 모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P5)이다. 이들 5개국 정상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1개월 전인 작년 1월, 5년마다 열리는 NPT 평가회의를 앞두고 발표한 공동 성명에서 “핵전쟁에서는 승자가 있을 수 없으며, 핵전쟁은 절대로 일어나선 안 된다는 점을 선언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정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