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일자리 늘려라"…전용펀드·전담반까지 가동

■맞춤 지원책 내놓는 지자체들

부산, 정책개발 위한 조직 신설

2026년까지 일자리 70만개 목표

경기, 스타트업 3만개 육성 추진

광주는 5000억 규모로 펀드 조성


주요 지자체들이 경기 침체로 인한 고용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 일자리 확충을 최우선 목표로 내걸고 본격적인 행보에 나서고 있다. 일자리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전용 펀드까지 개설하는 등 맞춤형 지원책으로 고용지표를 다각도로 개선하겠다는 전략이다.

2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부산시는 최근 부산일자리대응반을 구성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 국내외 고용 여건이 어느 때보다 어려운 상황에서 일자리 상황을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고용 현안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부산일자리대응반에는 경제정책과장을 주축으로 일자리기획팀, 장애인일자리팀, 노인지원팀, 50+지원단 등 부서별 일자리 담당 팀장 7명이 참여한다. 대응반의 주요 업무는 고용 개선을 위한 일자리 정책 개발, 신규 일자리사업 발굴,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등이다. 부산시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4년간 7조 3800억 원을 투입해 일자리 70만 개를 만들고 64세 이하 고용률을 67%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지난해 약 13조 원의 투자를 유치해 2026년까지 7만 8000여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힌 울산시는 석유화학기업지원특별팀을 꾸리고 기업 지원에 나섰다. 전담팀은 에쓰오일의 샤힌 프로젝트와 SK가스의 가스복합화력발전사업 등 대규모 투자를 결정한 석유화학기업의 인허가와 환경영향평가 등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사진 설명사진 설명





경기도는 스타트업 3만개를 육성해 60만개 일자리를 만들고 이 가운데 유니콘 기업 30개를 배출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스타트업 벤처캐피털(VC) 전문 금융기관을 통해 1조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 특히 정부의 노인 일자리 지원 축소에도 경기도 자체적으로 노인 일자리를 1만여개 늘릴 계획이다.

관련기사



충북도는 일자리 거버넌스 완성을 위해 투자유치국을 신설하고 과학인재국을 개편해 투자 유치와 인재 양성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일자리지원센터에는 정책 연구기능을 강화해 충북 일자리 컨트롤타워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예정이다. 특히 창업펀드 1000억 원을 조성해 창업하기 좋은 충북 건설을 위한 마중물로 활용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4년간 4조 7918억 원을 투입해 일자리 20만개를 창출하고 2026년까지 64세 이하 고용률을 현재 64.2%에서 66%로 올리기로 했다. 인공지능(AI)과 모빌리티 등으로 산업 경쟁력을 확장하고 반도체, 배터리, 자율주행차, 정밀의료, 마이스(MICE) 5대 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삼을 계획이다. 이를 위해 50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는 한편 2026년까지 광주역에 창업밸리를 조성할 계획이다.

충남도는 민선 8기 핵심 과제로 고용률 70% 달성과 일자리 26만개 창출을 청사진으로 내걸었다. 특히 차세대 디스플레이 혁신을 위한 기반 구축, 미래 모빌리티산업 지원, 한국해양바이오클러스터 조성, 디지털 전환 대응 기반 구축 및 전문 인력 양성 등을 통해 1만 1200개의 첨단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다.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침체가 장기화면서 올해 신규 일자리가 지난해의 10분의 1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인구 감소와 고령화 현상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적재적소에 필요한 맞춤형 일자리를 체계적으로 공급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전국 종합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