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中 리오프닝에 美 연착륙.. 글로벌경제 회복 기대감↑

현대경제연구원, 경기회복세 빨라질 수 있다 전망





중국의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에 대한 기대감과 미국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에 세계 경제가 조기 회복세를 보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2일 ‘글로벌 경기, 회복세 빨라질 수도 있다’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세계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크지만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완화하고 인플레이션 둔화가 진행 중인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경기 반등 가능성이 제기되며 경기 낙관론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전 세계 제조업과 서비스업 경기 동향을 종합한 JP모건 글로벌 종합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지난달 전월 대비 1.6포인트 상승한 49.8을 기록했다. 해당 지수는 지난해 6월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나타내다가 지난달 상승세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세계 경제가 예상보다 빠른 회복세를 나타낼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글로벌 공급망 차질 정도를 나타내는 ‘글로벌공급망압력지수’는 2021년 12월 4.31까지 급등했으나 지난달에는 0.95수준까지 하락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지속적으로 완화되고 있다는 의미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종전 전망치보다 0.2%포인트 상향한 2.9%로 전망하기도 했다.

이 같은 낙관론의 배경에는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의 경기 반등 가능성이 자리하고 있다.

미국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 여파로 지난해 말부터 경기가 침체 국면에 들어섰지만, 올 1월 실업률이 지난 1969년 5월 이후 최저치인 3.4%를 기록하는 등 노동시장의 견조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미국 가계 부채 수준이 과거 금융위기 당시보다 양호한 점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이에 따라 IMF는 올해 미국 경제가 견조한 노동시장 및 양호한 가계 재무 여건을 바탕으로 1.4%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종전 전망치(1.0%)보다 0.4%포인트 상향한 수치다.

IMF는 또 중국의 성장률을 종전 전망치보다 0.8%포인트 올린 5.2%로 전망했다. 특히 중국 소매 판매의 30%를 차지하는 온라인 소비가 리오프닝 이후 회복되면서 올해 중국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세종=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