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밑빠진 독' 직역연금…집단 이기주의 덫에 개혁 첫발도 못떼

[2023 연중기획-尹정부 2년차, 4대 개혁 적기다]

3부: 연금개혁 앞만 보고 가라 <2> 수술대 오른 3대 직역연금

공무원 등 이해당사자 반발로 표류

장성출신 의원 軍연금 수령 셀프입법


국민연금은 근로자와 기업이 보험료를 절반씩 부담한다. 하지만 공무원·군인·사학연금 등 3대 직역연금은 정부가 고용주다. 이 때문에 정부가 보험료 일부를 낼 뿐만 아니라 적자도 메워야 한다. 국민연금보다 보험료율도 높아 재정이 감당해야 할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지는 구조다. ★본지 2월 13일자 1·5면 참고

그럼에도 정부는 가입자 반발에 개혁에 소극적이었다. 윤석열 정부가 직역연금 개혁의 첫 단추로 군인연금을 손보기로 했지만 장성 출신 국회의원들이 연금을 받기 위해 ‘셀프 법개정’을 추진하는 등 직역별 이기주의가 만연하다.



1963년 도입된 군인연금은 1973년 재정이 고갈돼 세금으로 부족분을 메우고 있다. 올해도 국고 약 3조 원이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공무원연금도 1993년 적자가 발생해 2002년 기금이 고갈됐다. 사학연금 역시 공무원·군인연금의 전철을 밟아 2049년 적자 전환이 예상되고 있다.

관련기사



전문가들은 중장기적으로 재정 부담이 큰 3대 직역연금과 국민연금을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직역연금을 방치한 채 국민연금만 ‘더 많이 내고 더 늦게 덜 받는’ 개혁을 추진한다면 국민적 반감도 커질 수밖에 없다. 한 연금 전문가는 “국민연금의 경우 설계 당시에 일본의 후생연금을 참고했는데 일본은 2015년 공무원연금과 후생연금을 통합하면서 보험료와 소득대체율을 손봤다”며 “우리도 이런 점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연금개혁특별위원회 민간자문위원회는 군인연금 보험료율을 현행 14%에서 18%로 올리면서 지급률(연간 소득 대비 연금액 비율)을 1.9%에서 1.7%로 낮추는 방안을 논의했던 것이 서울경제 단독 보도로 알려지기도 했다.

문제는 직역연금 가입자의 거센 반발을 어떻게 설득하고 돌파해내느냐다. 당장 군인연금만 해도 20년간 복무하면 퇴직 즉시 연금을 받을 수 있어 반발이 거세다. 장성 출신 국회의원들이 의원 재임 중에도 군인연금을 받을 수 있는 법안 개정을 시도할 정도다. 퇴역 군인에게 지급하는 군인연금을 국회의원 임기 중에도 지급하는 내용의 군인연금법 개정안이 지난해 11월 국회 국방위원회 법안심사소위에 올라왔는데 나라 곳간을 자기 주머니에 넣는 법안에 여야 가리지 않고 찬성했다.



세종=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