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멈춰서도 길 위를 떠도는 ‘공유 킥보드’…“주차공간 확충 필요해”

대여·반납 지점 지정 안 된 '비거치식' 운영

도로 곳곳 방치돼 보행 환경·도시 미관 해쳐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킥보드 등 개인형이동장치(PM)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지만 주차공간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거리 곳곳에 부적절하게 주차된 PM이 보행을 방해하고 도시 미관을 해치는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어 주차공간 확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서울경제 취재진이 방문한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 보도가 좁고 PM 이용인구가 많아 PM 무단주차가 보행을 크게 방해하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신축 건물들이 들어서면서 전보다 보도가 넓어졌지만, 넓어진 보도 곳곳에 킥보드와 자전거가 가로 방향으로 주차 돼있어 인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PM 공유 서비스가 대여·반납 지점이 정해져 있지 않은 ‘비거치식’으로 운영되면서, PM 무단주차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여지는 더욱 커지고 있다. 지난 2021년 7월 ‘개정 도로교통법’이 시행되면서 비거치식 PM들을 모아서 주차할 수 있는 ‘개인형이동장치 주차구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했지만, 여전히 서울 시내에서 주차구역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관련기사



서울시에 따르면 비거치식 PM을 주차할 수 있는 ‘개인형이동장치 주차구역’은 올해 2월 기준으로 서울 전역에 193곳이 설정돼 있다. 구별로 보면 서초구가 50곳으로 가장 많고, 강서구가 22곳으로 뒤를 잇는다. 이 외에는 종로구·동대문구·강서구·강남구에 10곳 가량의 주차구역이 마련돼 있다. 이들 자치구를 제외한 19개 자치구에는 모두 10곳 미만의 주차구역만 존재한다.

서울시는 연내 개인형이동장치 주차구역을 확대한다는 계획이지만, 주차구역 확대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설명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구역의 설정에는 자치구 수요조사 결과와 대중교통 연계성, 설정 후의 보도폭 너비가 2m 이상인지의 여부를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단 PM 주차구역이 지정되고 나면 PM 무단주차와 관련된 민원은 점차 감소한다는 것이 현장의 설명이다. 서울 자치구 중 가장 많은 개인형이동장치 주차구역(50곳)을 운용 중인 서초구 관계자는 “2022년 말 킥보드 주차구역을 큰 폭으로 확충한 이후 2023년의 PM 무단주차 관련 민원이 1년 전보다 감소했다”고 전했다.

김성훈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은 “PM 주차구역을 촘촘히 배치한다면 주차 질서를 유지하면서 (단거리를 빠르게 이동하는) PM의 활용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신도시와 달리 서울과 같은 대도시는 시가지가 형성된 지 오래된 경우가 많아 적절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며 “지자체와 PM 공유 서비스 업체가 협의를 통해 적절한 장소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유정균 견습기자·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