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정병국 한국문화예술위원장 "미술처럼 부가가치 높은 분야 없어…공공기관·시장 연대해야"

[서경이 만난 사람] 정병국 한국문화예술위원장

단색화 도약에 상업갤러리 역할도 커

한국미술 붐업 위해 민관 협력은 필수

프리즈 개최 맞춰 갤러리 가이드북 제작






“한국 미술 시장의 전체 규모가 지난해 처음으로 1조 원을 넘겼습니다. 그건 ‘시장’ 얘기고 미술관이나 공공기관과는 무관한 일이라고 뒷짐 지고 있을 건가요. 그래서는 안 됩니다. 지난해 9월에 열린 아트페어 ‘프리즈(Frieze) 서울’을 봅시다. 전 세계에서 내로라하는 미술계 인사들과 컬렉터들이 몰려왔을 때 한국 미술이 이런 것이라는 점을 제대로 보여줘야 합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산하의 아르코미술관이든 국립현대미술관이든 공공미술관이 그 시점에 맞춰 기획 전시를 개최해 판을 벌여야 합니다.”

관련기사



정병국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은 공연·음악·미식 등 문화 전반에 조예가 깊지만, 특히 ‘미술’에 대한 관심이 각별하다. 개인적으로는 어렸을 때 사생대회에서 곧잘 상을 받는 편이었고 훗날 청와대 비서실에서 근무했을 때는 점심시간을 쪼개 인사동과 삼청동 갤러리들을 자주 다녔다. 그림이 좋아 사고 싶었지만 비싸서 대중의 관심이 더 깊어질 수 없다고 생각한 그는 문턱을 낮추자는 취지로 100만 원 안팎의 소품을 집중적으로 소개하는 ‘한 집 한 그림 걸기’ 운동을 갤러리에 제안해 생활 속 미술 향유를 확산시키기도 했다.

그래서 K팝과 K시네마·K클래식 등의 약진 속에 순수미술을 뜻하는 ‘K아트’의 부진이 유독 안타깝다. 정 위원장은 “무용이나 연극은 일회성이라 영화처럼 찍어 동시에 확대할 수 없으니 시장이 협소하지만 미술은 순수예술이면서 시장을 형성한다”며 “미술처럼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도 없어 중국이 자국 현대 미술을 붐업하려고 노력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장의 미술과 공공기관의 미술을 분리해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2015년 국회 외교통상위원회의 일원으로 이탈리아 밀라노박람회에 갔다가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미술제인 베니스비엔날레를 방문한 이야기를 들려줬다. 당시 한국 화랑 국제갤러리가 후원하고 이용우 전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가 기획한 ‘단색화’ 전시가 비엔날레 공식 특별병행전 중 하나로 열리고 있었다. “그 전시를 위해 현지 건물 하나를 통째로 빌렸고 개막일 전야제에는 전 세계 주요 예술인 300명을 초청해 만찬을 열었는데 아마도 아르코미술관 1년 예산 22억 원을 넘는 비용이 그 프로젝트 하나에 쓰였을 겁니다. 이후 한국 ‘단색화’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고 각국의 미술관·갤러리들이 단색화 전시를 개최하면서 작품을 찾게 됐습니다. 상업 갤러리가 투자를 강행할 때 기관은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그는 한국국제아트페어(KIAF·키아프)가 프리즈와의 공동 개최를 국제 무대 진출의 발판으로 삼았듯이 키아프와 프리즈 개최 기간을 우리 미술을 세계에 알릴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에 온 해외 미술계 사람들을 위해 미술관과 갤러리를 안내하는 가이드북을 만들려 합니다. 아트페어는 강남에서 열리고 갤러리는 주로 강북에 있으니 셔틀 운영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입니다. 올해는 미처 못했지만 내년에는 그 시기에 맞춰 꼭 연대해보려 합니다.”


조상인 미술전문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