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중국은 왜 마이크론을 먹잇감으로 삼았나[윤홍우의 워싱턴 24시]

中의 마이크론 조사, 美 전방위 규제 후 첫 반격

美 대표 메모리 기업이라지만 "中에 대안 많아"

공산당 체제 안정 노리는 中의 보복 이어질듯

3위 기업의 숙명…독보적 기술 없이는 희생양

로이터연합뉴스로이터연합뉴스




지난해 10월 글로벌 반도체 업계는 두 가지 소식에 주목했다. 첫째는 미국의 대중 반도체 장비 수출통제. 중국에 대한 제재가 로직반도체에 이어 메모리반도체로 확대됐고 중국의 대표 기업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가 미국의 수출통제 리스트에 새로 올랐다. 둘째는 미국 마이크론의 1000억 달러 규모 투자 발표였다. 이 회사는 미국 반도체 보조금을 발판으로 뉴욕주 클레이에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제조 시설을 짓겠다고 선언했다. 비슷한 시점에 이들 발표가 이어진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중국 기업의 싹을 자르고 미국 기업에 힘을 싣겠다는 워싱턴의 분명한 메시지였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당시 마이크론의 투자에 힘을 실으며 “결코 미국에 맞서지 말라고 얘기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런데 당할 줄만 알았던 중국이 이제 반격에 나섰다.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CAC)은 지난달부터 국가 안보를 이유로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의 제품을 조사하고 있다. 2014년 설립된 CAC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직접 설립한 기구로 온라인 분야에서 중국의 ‘홍색 규제’를 전두지휘하는 기관이다. 중국판 우버로 불리던 디디추싱은 2021년 뉴욕증시에 상장한 이후 CAC의 눈 밖에 나 1조 6000억 원의 벌금 폭탄을 맞기도 했다. 워싱턴의 한 소식통은 “CAC의 마이크론 조사는 미중 반도체 전쟁이 불거진 후 가장 선명한 중국의 반격”이라면서 “중국이 미국의 특정 반도체 기업을 겨냥했다는 점에서 도널드 트럼프 정부 때의 관세전쟁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미국 내에서는 마이크론을 첫 표적으로 삼은 중국의 전략이 굉장히 절묘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마이크론은 몇 가지 측면에서 중국의 좋은 먹잇감”이라고 분석했는데 그 이유는 “중국에는 마이크론의 대안이 많다”는 것이다. 실제 마이크론은 전 세계 D램 업계 3위, 낸드플래시 업계 5위 기업으로 마이크론의 반도체가 없더라도 중국 기업들의 생존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메모리 시장을 지배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이 건재하고 YMTC나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스(CXMT) 같은 중국 업체들도 기술력을 무시할 수 없다. 반면 중국은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에서 독주하는 엔비디아(NVIDIA) 같은 미국 기업과는 여전히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려 애쓰는데 이는 엔비디아의 대안을 중국이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외교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 같은 행보를 공산당 체제 안정 측면에서도 바라본다. 3연임에 성공한 시 주석에게 강한 리더의 모습이 절실한 시점이라는 것이다. 한 외교 소식통은 “지난해부터 미국의 전방위 첨단 기술 수출규제가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이 계속해서 당하는 모습을 보일 경우, 내부적으로 공산당 체제 안정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면서 “중국은 내부 단속을 위해서라도 미국에 맞서는 모습을 보여야 할 때”라고 말했다. 결국 중국은 자신들에게는 가장 타격이 적으면서도 조 바이든 행정부에 가장 아픈 상처를 낼 수 있는 ‘좋은 먹잇감’으로 마이크론을 지목한 셈이다. 그 공격의 선봉에 선 CAC는 장기간 마이크론에 대한 조사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되고 향후 미중 관계를 보며 보복 수위를 조절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 같은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전쟁 2라운드는 우리 기업들에 두 가지 명백한 시사점을 준다. 첫째는 ‘중국의 반격’이 이제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규제를 따라가기도 숨이 차는 마당에 중국의 미국 기업 규제 불똥이 어디로 튈지 걱정해야 할 상황이 됐다. 앞서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의 마이크론 규제는 한국과 일본 같은 미국의 동맹국 기업에 보내는 경고신호”라고 분석했다. 둘째는 확고한 경쟁력이 없는 기업의 숙명이다. 독보적 기술이나 시장 지배력이 없으면 언제든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국 메모리반도체의 간판이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지배력이 약한 마이크론의 한계가 분명히 드러난 사건”이라고 밝혔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