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SK·삼성·GS·포스코가 꽂힌 '이 것'…벌써 700만톤 확보했다 [biz-플러스]

온실가스 감축 주요대안으로 부상

SK어스온 연 200만톤 확보 목표

해외기업 손잡고 저장소 개발 추진

포스코·삼성은 CCS 사업화 '속도'





주요 기업들이 탄소 중립을 실현하면서 미래 기후변화 산업의 주도권을 가져가기 위해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개발과 사업 추진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존 제조 공정에 탄소 포집과 활용 설비를 설치하고 해외 가스전을 개발해 저장 사업에 뛰어드는 등 2050년 탄소 중립 대비에 한창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SK·포스코·삼성엔지니어링(028050) 등 주요 기업들은 에너지 자회사와 그린 사업부를 통해 CCUS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CCUS는 화석연료 사용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해 저장하거나 활용하는 기술이다. 화석연료로부터 나오는 탄소를 모아 저장하는 CCS와 포집한 탄소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CCU를 포괄한다. CCUS는 핵심 기간산업에 불가피하게 따라오는 온실가스 배출의 장기적 대안으로 평가받는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이 기술이 2050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에 18% 기여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CCUS의 역할을 확대한 상태다. 최근 정부는 CCUS의 2030년 감축 목표를 기존 1030만 톤에서 1120만 톤으로 90만 톤 늘렸다.

韓기업 CCUS 기술개발 분주…해외가스전 확보해 사업화까지


이에 석유화학 등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높은 산업들은 기존 공정에 CCUS 관련 설비를 적용하며 탄소 감축을 서두르고 있다. SK이노베이션(096770)은 울산CLX에 자체 연구개발(R&D)로 확보한 CCU 기술을 적용했다. 이산화탄소 회수 시설을 설치해 포집한 후 이를 반도체 에칭용, 용접, 드라이아이스, 식물 재배 등의 타 산업계에 판매하고 있다.

포스코는 파이넥스 공정 부생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상용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의 배가스는 75%가량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를 코크스 오븐에 주입해 공정 연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광구·탐사 개발을 주력으로 해온 에너지 기업들은 포집한 탄소를 묻을 국내외 저장소를 확보하며 CCS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저장소를 탐사하고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술 역량이 석유 및 가스 개발 사업에 적용되는 지하 구조 평가 기술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이다.



SK어스온은 2030년까지 연간 200만 톤 규모의 저장소를 확보해 SK그룹은 물론 국내외 타 기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까지 처리하겠다는 목표로 CCS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서해와 동해에서 각각 저장소 후보지 확보를 추진 중이고 해외에서는 말레이시아와 호주의 저장소 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SK E&S도 호주 기업 산토스 등과 함께 이산화탄소 저장소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액화 이산화탄소를 호주 다윈 지역에 하역한 뒤 동티모르 해상 가스전에 영구 저장하는 프로젝트다.

관련기사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은 CCS 사업화를 위해 지난해부터 호주에서 고갈된 해상 가스전을 활용해 CCS 사업의 경제성을 분석하고 있다. 지난해 인수한 호주 세넥스에너지와도 CCS 사업화를 위한 기술평가와 경제성 분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국영 석유 기업 페트로나스와 함께 국내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염대수층과 해상 고갈 가스전에 저장하는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삼성엔지니어링도 국내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말레이시아로 이송·저장하는 사업인 셰퍼드 CCS 프로젝트를 국내외 6개사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아직 상용화를 시작한 곳은 없지만 탄소 중립 시기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기술 확보와 사업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화석연료에서 수소경제로 전환하기 위해서도 CCUS 기술 개발과 사업화는 필수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美·EU는 탄소포집 稅혜택 늘리는데…韓은 컨트롤타워조차 없어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세계 주요국들이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에 대한 인센티브를 늘리며 적극 육성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명확한 컨트롤타워도 없이 제대로 된 지원책이 나오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CCUS 기술 수준은 최고 기술력을 가진 국가의 85%로 기술 격차는 3.5년 정도로 평가된다.

세계 주요국은 기술 격차를 더 벌리기 위해 CCUS 관련 세제 혜택과 법률 개정, 연구개발(R&D) 투자 등 적극적인 육성책으로 산업을 키우고 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CCUS 설비 설치 등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강화했다. CCS의 경우 탄소 1톤당 85달러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캐나다도 CCS 투자비의 50%, 대기 중에서 직접 탄소를 포집하는 기술인 DAC 투자비의 60%에 대해 세금을 공제해준다. EU는 시장 창출을 위해 CCUS 관련 기술과 제품의 연 수요 40%를 역내에서 생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반면 우리는 CCS는 산업통상자원부, CCUS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담당하는 등 아직 CCUS 관련 정책 지원을 총괄하는 책임 부처조차 명확히 정해지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선도국과 기술 격차가 있는 상황에서 정책적 뒷받침 없이는 미래 기후변화 산업에서 주도권은커녕 제대로 대응하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R&D 투자가 지금보다 강화돼야 하며 기업의 기술 도입을 유인할 세제 혜택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지나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현재의 R&D 투자와 정책 수준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가정하면 2030년에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포집한 이산화탄소의 저장소가 부족한 국가는 저장소를 찾는 일부터 쉽지 않다. 해외 가스전 역시 각국의 여러 기업들이 붙으면서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또 해외 가스전에 포집한 탄소를 옮기려면 국가 간 협약이 선행돼야 하는데 이는 기업이 아닌 정부 간 협약이라 정부의 발 빠른 조치가 필수다. 높은 비용도 문제다. 저장소가 부족한 만큼 탄소를 수출하기 위한 수송 비용을 고려할 때 경제성이 크게 떨어진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탄소 중립 목표를 맞추기 위해 기업들만 악전고투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세제 지원 등 정부의 관련 산업 육성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민주 기자·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