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흔들리자…모디 만나러 총출동한 美 CEO[뒷북 글로벌]

모디 취임후 첫 닷새간 국빈 방문

美정부, 中포위망 강화 환대 극진

백악관 "반도체·AI 등 중요 파트너"

테슬라·마이크론 印공장설립 추진

드론 판매 등 軍부문 협상도 진행

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나렌드라 모디(오른쪽) 인도 총리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0(현지 시간) 뉴욕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AP연합뉴스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나렌드라 모디(오른쪽) 인도 총리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0(현지 시간) 뉴욕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AP연합뉴스




중국 중장기 경제성장률이 둔화하는 등 ‘차이나리스크’가 커지자 미국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미국을 방문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만나기 위해 총출동한다.

20일(현지 시간) CNBC는 모디 총리가 이날부터 닷새간 미국 국빈 방문을 시작했으며, 특히 22일 백악관에서 열리는 국빈 만찬에는 애플의 팀 쿡, 구글의 순다르 피차이, 마이크로소프트(MS)의 사티아 나델라 등을 포함한 다수의 CEO들이 참석한다고 보도했다. 모디 총리는 20일 뉴욕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도 만났다. 머스크 CEO는 “테슬라가 인도에 진출할 것으로 확신하며 가능한 한 빨리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테슬라 임원진은 인도를 방문해 자동차 및 배터리 공장 설립 문제를 논의한 바 있다.



미국 기업들이 모디 총리를 만나기 위해 한 자리에 모이는 것은 인도의 성장 잠재력 때문이다. 그동안 세계 경제의 성장 엔진 역할을 했던 중국은 저출산 고령화와 지방정부 부채 문제 등으로 장기 저성장, 나아가 일본식 디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중 간 지정학적 갈등으로 중국에만 공급망을 구축할 경우 기업 입장에서는 사업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다. 반면 인도는 올해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이 돼 내수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경제성장률도 고공 행진하고 있다. 미 정부 관계자는 “인도에 투자하려는 미국 기업이 많아 백악관이 고무돼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미국 기업 뿐만 아니라 정부도 모디 총리에게 레드카펫을 깔아주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이후 세 번째 국빈 초청국으로 인도를 택했다. 첫 번째는 지난해 12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두 번째는 올해 4월 윤석열 대통령이었다. 모디 총리는 22일 7년 만에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연설도 한다. 로이터는 “이번 국빈 방문은 냉전 시대에는 반대 진영에 속했던 두 나라가 얼마만큼 거리를 좁혔는지를 보여주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세부적으로 모디 총리의 이번 방미에서는 인도 내 첨단 반도체 제조 촉진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중국에 대한 반도체 의존도를 줄이려 하며 실제로 인도의 1분기 미국 반도체 수출도 4억 971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배나 급증했다. 로이터는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이 인도에 27억 달러를 들여 반도체 시험 및 패키징 공장을 설립하려는 계획을 이날 인도 내각이 승인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인도는 이 사업에 13억 4000만 달러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군사 부문에서는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과 인도 힌두스탄에어로노틱스가 인도에서 전투기용 엔진을 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미국이 인도에 드론을 판매하는 협상도 진행되고 있다. 구글·페이스북 등 빅테크의 인도 내 영업 관련 규제와 인공지능(AI) 등도 논의의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탄력적인 공급망, 반도체, AI, 양자컴퓨팅 등에서 인도보다 더 중요한 파트너는 없다”며 “인도는 앞으로 수십 년간 전략적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 입장에서도 인도를 포섭하면 중국의 글로벌 영향력 차단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인도 역시 중국을 견제한다는 점에서 미국과 같은 목적 의식을 가졌다. 인도는 2020년 자국군 20명이 사망한 국경 충돌 이후 중국 애플리케이션 수백 개를 금지하는 등 중국을 위협으로 간주하고 있다. 아울러 반도체 등 제조업 생산 기지가 되려는 인도의 야심에 미국의 대규모 투자는 반길 만한 일이기도 하다.

다만 러시아·인권 등 핵심 사안에서의 입장 차이로 미국과 인도 관계가 완전히 밀착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인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철군을 요구하는 유엔 결의안 채택 과정에서 기권표를 던졌고 가격이 하락한 러시아산 원유를 대거 사들이고 있다. 미국 민주당 소속 상하원 의원 75명은 이날 바이든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모디 총리와의 회담에서 인권 문제를 거론할 것을 촉구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