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IMO, 2050년 해운 탄소중립 합의…업계 비상


국제해사기구(IMO)가 2050년까지 국제 해운 부문 탄소 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에 합의했다. 해운·조선 업계로서는 여러 영업 방식을 바꿔야 해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IMO 회원국들은 7일 영국 런던 본부에서 개최된 제80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회의에서 이 같은 온실가스 감축 전략(GHC) 개정안을 채택했다. 회원국들은 여러 국가의 상황을 고려해 2050년까지 혹은 그 무렵에 국제 해운 탄소 중립에 도달하기로 했다. 2050년까지 해운 업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량과 이를 흡수해 제거하는 분량을 더해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이른바 ‘넷제로’ 수준에 도달하자는 목표다. 세부적으로는 온실가스를 2008년 총배출량 대비 2030년까지 최소 20%(30%까지 노력), 2040년까지 최소 70%(80%까지 노력) 감축할 계획이다. 다만 단계적 감축량의 경우 의무 목표는 아니고 점검 차원의 지표다.

관련기사



연료·광물·곡물·컨테이너 등을 운송하는 대형 선박은 중유를 연료로 쓴다. 휘발유나 경유·등유 등을 증류해 뽑아내고 남은 기름인 중유는 발열량이 많고 저렴하지만 밀도가 높아 그만큼 탄소 배출량도 많다. 해운 업계는 탄소 절감을 이루려면 이 중유 사용을 줄여야만 하는데, 이는 단순히 대체 연료를 개발하는 차원을 넘어 선박, 유조선, 송유관, 항구 설비 등 광범위한 기반시설까지 영향을 받는 문제가 된다. 조선 업체들은 중유보다 상대적으로 친환경적이라고 알려진 액화천연가스(LNG)로 운항이 가능한 선박들을 만들기 시작했고 지난해 처음으로 중유 화물선 계약량을 앞질렀다. 하지만 선박의 평균 사용 연한이 25년에 이르기 때문에 한동안은 중유 선박이 바다에 떠다닐 수밖에 없다. 이번 결정이 해운·조선 업계에 파장을 몰고 올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석유 생산, 해양 무역 등에서 경제적 이해관계가 큰 국가들은 이번 논의에 브레이크를 걸었지만 기온 상승에 따른 해수면 상승의 직격탄을 맞은 섬나라 및 해안 국가들이 협정 추진을 강하게 밀어붙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IMO는 이번 협정을 통해 온난화를 1.5도 이내로 억제하자는 국제사회의 약속에 일치된 목소리를 내기로 합의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중미 대서양 카리브해 연안에 위치한 소국 벨리즈의 카를로스 풀러 유엔 대표는 “수치를 놓고 필사적으로 싸웠다”며 “결과가 완벽하지는 않지만 온난화 폭을 1.5도 내로 머물게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