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법률분야도 챗GPT가 중추적 역할 담당할 것"

김승열 쥬리스 크리에이터즈 그룹 대표변호사

북경에서 열린 한·중·일 국제 세미나에서 발표

"로펌은 기술회사…법학 교육도 AI 비중 높여야"

지난 5일 중국 북경 대외경제무역대에서 개최된 한·중·일 국제 세미나에서 김승열 대표변호사가 주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쥬리스 크리에이터즈 그룹지난 5일 중국 북경 대외경제무역대에서 개최된 한·중·일 국제 세미나에서 김승열 대표변호사가 주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쥬리스 크리에이터즈 그룹




"챗GPT(ChatGPT)와 같은 거대 언어모델의 발전은 향후 범용 인공지능(AGI)으로 발전할 것이므로 이들이 곧 법률 분야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입니다."



쥬리스 크리에이터즈 그룹(Juris Creators Group)의 김승열 대표변호사는 지난 5일 중국 북경 대외경제무역대에서 개최된 한·중·일 국제 세미나에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체제하에서의 법률분야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변호사는 "향후 변호사의 미래는 이들을 제대로 활용해 경쟁력 있는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밖에 없다"며 "이에 따라 향후 법학 교육에서도 AI(인공지능) 등 기술에 대한 비중이 높아져야 하며 나아가 법률회사는 이제 기술회사로 나아갈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변호사는 여전히 궁극적인 문제 해결사로 그 역할이 강조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는 조만간 글로벌 법률 플랫폼기업을 만들어 온라인상 업무는 가급적 무료 내지 거의 실비수준으로 제공하고, 오프라인상 업무는 적정한 보수를 지급하는 구조로 법률서비스 시장이 변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변호사는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사이버공간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로펌은 필연적이어서 이에 따른 조속한 디지털 전환 만이 생존전략의 필수적인 전제조건"이라며 "다만, 챗GPT 기반의 대규모 언어모델(LLM)이 논리적 비일관성, 환각, 수학적인 한계 등의 문제로 그 성능이 완벽하지 않고 일부 오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워 이를 보완하기 위한 오프라인 업무 역시 필연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중국에서의 법률 플랫폼 비즈니스의 가능성 등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변호사는 “궁극적으로 챗GPT가 나온 지 7개월 밖에 경과되지 않았다”며 "지금이라도 거대한 시대적 흐름에 순응해 인공지능의 전문가를 지향하는 변호사로의 삶이 시작되는 시점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전했다.


최성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