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가 21만 1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29개월 만에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집중호우로 일용직 취업자 수가 19만 명 가까이 줄어든 영향이 컸다. 경기 둔화세도 이어지며 제조업 취업자는 7개월, 건설업 취업자는 8개월 연속 감소했다. 청년 고용률은 감소하고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인구는 증가하는 등 청년 고용 활력이 떨어지는 모습까지 나타났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만 1000명 증가했다. 2021년 2월(47만 3000명 감소) 이후 가장 적게 늘었다. 집중호우로 일용직 취업자가 18만 8000명 줄어든 탓이 컸다. 산업별로 봐도 날씨 영향을 많이 받는 농림어업 취업자 수가 4만 2000명 감소했다.
경기 둔화 흐름에 따른 타격도 뚜렷하다. 수출 부진으로 제조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3만 5000명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반도체·전기장비 관련 취업자 감소 폭이 확대되며 제조업 취업자 수가 7개월 연속 줄었다”고 설명했다.
건설 경기도 여전히 부진해 관련 취업자 수는 4만 3000명 줄어 8개월 내리 감소했다. 남성 근로자 비중이 70% 이상인 건설업·제조업 경기가 부진하며 남성 취업자 수가 3만 5000명 줄어드는 모습까지 나타났다. 남성 취업자 수가 감소 전환한 것은 2021년 2월 이후 처음이다.
청년 고용 활력을 점점 떨어지고 있다. 청년(15~29세)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3만 8000명 줄었다. 인구 감소 영향을 떼어 낸 고용률까지 전년 동월 대비 0.7%포인트 줄어든 47.0%로 나타났다. 전 연령층 중 유일하게 고용률이 떨어졌다.
특히 구직 활동·취업 준비를 하지 않고 그저 쉬었다고 답한 청년층이 상당해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달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40만 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만 명 늘었다.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게 ‘쉬었음’의 주요 이유임을 고려하면 일자리 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치가 상당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청년 쉬었음 인구가 증가하는 것에 정책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살펴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