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약 9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 국민의 인공지능(AI) 일상화를 추진한다. 시민들의 일상을 비롯해 산업현장, 공공행정 등 전방위적으로 AI 사용을 확산해 디지털 모범국가의 기초를 다지겠다는 계획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3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한민국 초거대 인공지능 도약’ 행사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대한민국 인공지능 도약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는 국내 기업의 초거대 AI 출시를 축하하는 한편 국내 AI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신뢰성 제고를 민관이 함께 추진한다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이에 따르면 우선 내년부터 미국·캐나다·EU 등의 선도대학과 글로벌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국내 AI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성장시킨다는 목적에서다. 또 인공지능 공동랩을 구축하는 한편 석·박사급 인재를 파견해 전문가 양성을 새롭게 추진한다. 양자 협의체나 국제기구를 통해 공조를 강화하고 해외진출도 지원한다는 생각이다.
정부는 또 전 국민 AI 일상화를 위해 909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한다. 국민 편의를 향상 시키면서 대규모 수요를 창출해 산업 육성을 견인하겠다는 의도다. 이에 관계부처들이 전방위적으로 AI를 확산시키고 디지털 모범국가의 탄탄한 기초를 마련할 계획이다. 예컨대 복지 분야에서 공공요금 체납 등과 관련한 정보를 AI가 분석해 위기가구를 찾아내고 정기적으로 안부나 건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농업 분야에서 작물재배, 에너지 냉난방 제어 등에 AI를 적용해 효율성을 높이는 것도 마찬가지다.
디지털 질서 규범의 기본 방향으로서 디지털 권리장전을 수립한다. 디지털 권리장전은 디지털 공동번영사회를 위한 기본원칙과 실현을 위해 보장돼야 할 시민의 권리, 주체별 책무 등을 규정한다. 이를 위해 대학총장, 학회, 기업, 청년세대 등과 총 14번의 간담회를 진행했다. ‘뉴욕구상’ 1주년을 계기로 디지털 권리장전을 발표하고, UN 등을 통해 글로벌 디지털 규범 제정을 주도하겠단 생각이다.
또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이나 부작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AI의 윤리·신뢰성을 강화한다. 분야별 특화 자율점검표·개발안내서’를 개발하고 AI 서비스에서 발생 가능한 위험요인 등에 대해한 신뢰성 검인증 체계를 마련한다. 또 거짓답변(Hallucination), 편향성, 비윤리·유해성 표현 등 초거대 AI 한계 극복을 위한 기술개발도 내년부터 신규 추진한다.
이 장관은 “AI 혜택을 국민과 함께 공유하면서 대규모 수요를 창출하는 전국민 인공지능 일상화를 착실히 추진해 나갈 것”이라면서 “인공지능과 디지털을 둘러싼 국제 동향에 적극 대응하고 윤리 신뢰성 강화 및 디지털 권리장전 수립을 통해 새로운 디지털 규범 질서를 주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