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노선도가 40년 만에 바뀐다.
서울시는 시각·색채·디자인·인지·교통 등 분야별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서울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을 개선한다고 13일 밝혔다.
1980년대 4개(106개 역)에 불과했던 지하철 노선은 2000년대 9개 노선(338개 역), 현재 23개 노선(624개 역)으로 계속 증가해 왔지만 노선도는 1980년대의 형태를 유지한 채 노선만 추가하는 방식으로 운영됐다. 2025년까지 서울시에 신림선·동북선·면목선·서부선·우이신설연장선·목동선·난곡선·위례신사선·위례선이 신설되고, 9호선 4단계 연장과 GTX 신설까지 예정된 상황이어서 노선도가 복잡해질 우려가 커졌다. 또 기존 노선도는 각도가 다양한 다선형 형태여서 위치 파악이 어렵고, 환승역과 일반역 간 구분이 모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공항·강·바다 등 지리적 위치 인지가 쉽지 않고 역번호 표기가 없어 관광객 등 이용객 배려도 부족했다.
개선된 노선도는 많은 노선과 환승역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8선형(Octoliner) 디자인을 적용했다. 1933년 헨리 벡이 영국 런던 지하철에 처음 적용한 8선형은 현재 국제적으로 가장 일반화된 디자인이다. 수평·수직·45도 등 대각선과 직선만 허용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원형 형태를 적용한 2호선 순환선을 중심에 두고 일반역과 혼재된 태극 문양의 환승역은 신호등 방식의 표기 방식으로 개선했다. 사용자가 쉽게 목적지를 따라갈 수 있도록 환승 노선의 색상을 나열하고 연결 고리 형식으로 적용했다.
서울시는 관광객에게 현 위치를 방위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심과 외곽 지역 경계선과 인천공항·바다·강 등 주요 지리 정보를 노선도에 표현했다. 내년에는 랜드마크 아이콘을 노선도에 적용해 서울의 명소도 홍보할 예정이다.
색약자·시각약자·고령인들도 보기 쉽도록 약자를 배려해 노선의 색상과 패턴을 새롭게 적용했다. 복잡한 지하철 노선도의 선형을 경로와 중요도에 따라 노선(메인전철·경전철·도시철도·간선철도)의 색상과 종류를 분류하고, 1~9호선의 메인전철을 중심으로 밝기·선명도·패턴을 적용해 선의 표현을 세분화했다.
외국인을 고려한 표기 방식도 개선했다. 기존에 역번호만 표기됐던 노선도에서 역번호와 노선을 함께 표기해 찾기 쉽도록 변경했다.
20~30대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새 노선도에 대한 아이트래킹 아이트래킹(Eye Tracking·시선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추적하는 기술)을 진행한 결과 역 찾기 소요 시간은 최대 약 55%, 환승역 길 찾기 소요 시간은 최대 약 69% 단축됐다. 특히 외국인의 길 찾기 소요 시간 감소 폭이 내국인보다 약 21.5% 더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는 역별로 제각각 적용되고 있는 기존 노선도를 온라인·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휴대전화 등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1대1·16대9의 두 가지 비율을 개발해 사용성을 높일 예정이다.
개선 노선도는 오는 18일 오후 2시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리는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 공청회에서 지하철 노선도 관련 기념품과 함께 공개된다. 최종 디자인은 시민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올해 말 발표된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새롭게 발표한 노선도는 시각약자, 외국인 모두를 배려한 읽기 쉬운 디자인으로 지하철을 더욱 편하게 이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글로벌 스탠다드 기준에 맞춘 디자인을 적용해 글로벌 톱5 도시로 성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