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자살률' 10만명당 25명으로 소폭 감소…10대·40대는 늘었다

서울 마포 대교에 설치된 생명의 전화 안내판 모습. 연합뉴스서울 마포 대교에 설치된 생명의 전화 안내판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국내 자살 사망자수와 자살률이 전년보다 다소 감소했으나 10대와 40대의 자살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자살률이 낮아진 데에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일상 회복이 영향을 준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보건복지부는 통계청이 공개한 '2022년 사망원인통계' 중 자살 관련 내용의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의 2022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사망자는 1만2906명으로 전년보다 446명(3.3%) 줄었다.



자살사망률(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25.2명으로 전년(26.0명)보다 3.2% 감소했다.

관련기사



최근 5년간 자살률은 2018년 26.6명→2019년 26.9명→2020년 25.7명→2021년 26.0명→지난해 25.2명으로, 지난해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성별로 보면 남성 자살 사망자수(자살률)는 2021년 9193명(35.9명)에서 지난해 9019명(35.3명)으로 줄었고, 여성은 4159명(16.2명)에서 3887명(15.1명)으로 감소했다.

연령대별 자살률은 80대가 60.6명으로 가장 높고 70대 37.8명, 50대 29.0명, 40대 28.9명, 60대 27.0명, 30대 25.3명, 20대 21.4명, 10대 7.2명 순이었다.

40대와 10대 자살률은 전년보다 각각 2.5%, 0.6% 증가했고, 다른 연령대의 자살률은 감소했다.

복지부는 "자살은 사회구조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자살률 증감의 원인을 어느 하나로 설명하기 어렵다"며 "작년 자살률 감소는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돼 고립감과 부양부담이 완화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내년에는 '전 국민 마음건강 투자' 사업을 핵심 국정과제로 선정해 자살 예방부터 고위험군 선제 발굴·지원, 생명존중문화 확산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안에 정신건강혁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안유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