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차 그룹, 사회적 약자 위한 미래 모빌리티 기술 대거 공개

22일 '2023 아이디어 페스티벌' 개최

김용화(사진 가운데) 현대차·기아 CTO 사장이 22일 경기도 화성시 냠양기술연구소에서 열린 '2023 아이디어 페스티벌' 참가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자동차 그룹김용화(사진 가운데) 현대차·기아 CTO 사장이 22일 경기도 화성시 냠양기술연구소에서 열린 '2023 아이디어 페스티벌' 참가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자동차 그룹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현대자동차·기아 임직원의 참신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미래 모빌리티 기술들이 대거 공개됐다.



현대차·기아는 지난 22일 경기 화성시 남양기술연구소에서 임직원들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실물을 직접 제작해 발표하는 ‘2023 아이디어 페스티벌’ 본선 경연을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올해로 14회를 맞는 아이디어 페스티벌은 창의적인 연구 문화를 조성하고, 임직원들의 연구 개발 열정과 창의력을 장려하기 위해 2010년부터 매년 진행되고 있다.

올해 아이디어 페스티벌은 ‘세상을 바꾸는 마음 따뜻한 기술’을 주제로 개최됐다. 이를 위해 현대차·기아는 지난 5월부터 미래 모빌리티 기술과 연계해 교통 약자 및 사회적 배려 대상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전달하는 아이디어들을 공모했다.



이 가운데 참신한 아이디어로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되는 총 15개 팀이 본선 진출팀으로 선발돼 이날 본선에서 경합을 펼쳤다.

관련기사



아이디어를 실물로 구현하는 제작 부문에 총 9개 팀이,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스토리텔링을 통해 제안하는 시나리오 부문에 6개 팀이 각각 발표를 이어갔다. 본선 진출팀 중 중국 연태 및 상해 기술연구소 소속의 5개 팀(제작 부문 3팀, 시나리오 부문 2팀)은 사전 제작된 영상을 통해 본선에 참여했다.

제작 부문에서는 △V2L(Vehicle to Load) 기능과 V2H(Vehicle to Hospital) 통신을 활용한 ‘찾아가는 인공신장실’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한 수상 구조 모빌리티 ‘오빗(Orbit)’ △UWB(Ultra-wideband, 초광대역) 통신 기반 ‘사각지대 보행자 사고예방 기술’ △청각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사이드 미러(DSM) 수어 소통 시스템’ △차량 공조시스템을 외부 환경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V2GO(Vehicle To Go)’ △시각장애인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위한 ‘햅틱 내비게이터’ 등이 경쟁을 벌였다.

시나리오 부문에서는 △임산부 맞춤형 차량 구독 서비스 ‘임-편한세상’ △AI 기반 능동형 음주운전 예측 및 예방 시스템 ‘드렁크헌터’ △공유 킥보드를 활용한 휠체어 이용자의 이동성 향상 기술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사회 안전망 구축 기술이 공개됐다.

중국기술연구소는 제작 부문에서 △차량 노크 소리를 이용한 식별제어 시스템 △스마트 워치 연동 기능을 활용한 운전자 헬스케어 시스템 △차량 내 360도 회전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서비스를 공개했다. 시나리오 부문에서는 △자율주행 기술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여행서비스 △육해공 이동이 가능한 교체형 모빌리티를 선보였다.

발표 이후 김용화 현대차·기아 CTO 사장이 포함된 임직원 심사위원단은 작품의 참신성, 완성도 등을 평가했다. 추가로 유튜브 ‘좋아요’ 점수를 종합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그 결과 제작 부문에서는 ‘햅틱 네비게이터’를 발표한 ‘H-sense’팀이, 시나리오 부문에서는 ‘공유 킥보드를 활용한 휠체어 이용자의 이동성 향상 기술’을 발표한 ‘의좋은 오누이’팀이 각각 영예의 대상을 차지했다.

제작 부문 대상을 차지한 H-sense팀에게는 상금 1000만 원과 ‘2024 CES’ 견학 기회가 주어졌다. 시나리오 부문 대상 의좋은 오누이팀에게는 상금 500만 원과 아시아 지역 해외기술 탐방 기회를 제공한다.

김 사장은 “이번 아이디어 페스티벌은 모빌리티가 어떤 방식으로 선한 영향력을 펼칠 수 있을지 심도있게 고민한 임직원들이 만들어낸 결과”라며, “창의적인 연구개발문화 조성을 위해 이러한 도전의 장을 지속해서 운영 및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노해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