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졸업을 유예해 학교를 더 다니게 하고 싶을 정도로 기대되는 정책을 마련해 준 경기도교육청의 결정에 감사하다.”
경기도교육청이 특수교육 현장이 겪어 온 인력 부족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돌봄 확대로 장애학생 가족을 두텁게 지원한다. 이를 위해 도 교육청은 임태희 교육감의 강한 의지를 반영해 현장에 인력 1030명을 증원하고, 맞춤형 교육 플랫폼을 구축해 미래형 특수교육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 경기특수교육원 건립과 행동중재 신속대응팀 운영으로 장애학생의 교육 참여 지원도 적극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경기도교육은 17일 도교육청 북부청사 브리핑룸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특수교육 활성화 3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도교육청은 특수교육 현장에서 가장 시급하게 필요로 하는 정책을 4대 영역, 11개 과제로 제시해 향후 3년간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주요 내용은 △특수교육 인력 및 돌봄 확대로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및 학생 맞춤형 지원 강화 △전국 최초 인공지능(AI) 기반 성장 맞춤형 특수교육 플랫폼 구축으로 미래형 스마트 특수교육 확대 △경기특수교육원 건립과 행동중재 신속대응팀 운영으로 장애학생 교육활동 참여 제고 △교육정책 수립 단계부터 교육 약자를 고려하는 ‘교육정책 보편적 설계’ 전국 최초 도입 등이다.
이와 함께 △과밀 특수학급 지원 △유치원 연령별 특수학급 교사 배치 △특수학교 1교실 2교사제 실현에 나선다. 고질적인 인력 부족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기간제 특수교사 230명을 증원하고, 특수교육지도사 정원도 200명 확대한다. 학교 별로 장애학생을 위해 별도 인력 500명 채용과 특수교육 종일반 담당 기간제 특수교사 100명 증원, 특수교육 종일반도 기존 180개에서 250개 학급으로 확대 등이 이뤄진다. 장기화 된 경기 침체 속에도 임태희 교육감의 의지가 반영된 정책이라고 도교육청 관계자는 설명했다.
인공지능(AI) 전환기 시대에 따른 미래형 특수교육 실현을 위해 AI 기반 성장 맞춤형 특수교육 플랫폼을 전국 최초로 구축한다.
AI 튜터 코칭으로 장애학생을 진단·평가해 기초학력을 확인하고, 로봇 등을 활용한 맞춤형 수업 제공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습역량 강화와 함께 입학부터 졸업까지 데이터를 관리해 활용한다.
장애학생의 일상생활과 교육 지원을 위해 지능형 로봇을 도입하고, 장애유형에 적합한 미래형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특수학교(급)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한다. 내년에는 특수학교 36교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2025년부터 특수학급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경기특수교육원을 건립해 행동중재 종합지원과 특수교육 현장 지원 강화에도 힘쓴다는 구상도 밝혔다.
심각한 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 지원을 위해 지역별로 행동중재 신속대응팀을 구성하고, 학생 행동 분석에 따른 4단계 맞춤형 행동중재시스템을 운영해 장애학생의 교육 참여를 높일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이번 3개년 계획을 추진하면서 전국 최초로 ‘교육정책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를 도입, 모든 교육 정책의 기본 계획 수립 단계부터 장애학생 등 교육약자를 고려해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도록 제도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교육청 내 모든 정책 부서가 참여하는 교육정책 보편적 설계 협의체를 구성·운영함으로써 장벽 없는 무장애 교육정책을 입안하고 심의할 계획이다.
김선희 도교육청 특수교육과장은 “교육정책 수립 단계부터 교육약자를 고려하고 지원하는 것은 교육의 당연한 책무이자 기본 방향”이라며 “특수교육 분야의 획기적 지원으로 특수교육 공동체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선진국 수준의 특수교육 실현으로 미래 사회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