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이창용 "국제유가 90弗 넘으면 물가 예측 달라질 것"

한은·대한상의 공동 세미나

최태원 "국가투자지주사 만들어

고위험 첨단기술 투자 나서야"

이창용(오른쪽) 한국은행 총재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제2회 한은·대한상의 공동 세미나’에 참석해 강연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이창용(오른쪽) 한국은행 총재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제2회 한은·대한상의 공동 세미나’에 참석해 강연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일 “내년 국제유가를 배럴당 84달러 정도로 예상했는데 90달러 이상으로 오른다면 물가 예측이 많이 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점령으로 중동 사태가 1년 이상 갈 수 있다고 보고 국제유가를 가장 큰 걱정거리로 거론한 것이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 개최한 ‘제2회 공동세미나’에서 이종화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와 대담을 갖고 “물가가 예상대로 안정되다가 8~9월 유가 변동으로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발언했다.

관련기사



이 총재는 인구구조 변화와 관련해서도 고령층 부양 문제로 청년층의 생산성이 높아지기 어렵다는 우려도 털어놓았다. 그는 “인구가 줄어도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높이려면 젊은 사람들이 창의적인 기업을 만들어 생산성을 높여야 하는데 사회 보장이 충분치 않으니깐 부모가 아프면 일을 그만두고 봉양을 해야 한다”며 “해외 노동자를 들여와 돌봄 등으로 활용하지 않고는 생산성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고위험·고성장 첨단기술 분야에서 고통을 참을 수 있는 자본 형성을 위해 국가투자지주회사를 설립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최 회장은 “민간투자가 안 되는 부분을 국가지주회사가 투자하고 이를 민간에 위탁 운영하는 ‘리버스 BLT(역 임대형 민간투자사업)’ 형태를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교수는 ‘지정학적 분열과 인구 감소의 뉴노멀 시대 한국 경제의 돌파구는’이라는 주제의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 경제는 현재 성장 잠재력 하락, 소득과 부의 불평등 지속, 고물가 금융 불안정의 3중고(重苦)를 겪고 있다”며 “고금리, 미국의 통화 긴축, 에너지 가격 상승, 미중 갈등, 중동 지역 불안 등 여러 하방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 경제의 당면 문제가 복합적이어서 인적자원, 기술, 제도·정책의 종합적인 개혁이 필요하고 특히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