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공무원 10명 중 8명 "악성민원 시달려"…이직 이유도 '악성 민원' 때문

악성 민원 대책 마련 촉구하는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연합뉴스악성 민원 대책 마련 촉구하는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연합뉴스




최근 5년 사이 공무원 10명 중 8명이 악성 민원에 시달린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이 소속 조합원 70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들 중 84%가 최근 5년 사이 악성 민원을 받은 적이 있던 것으로 조사됐다.

악성민원의 빈도는 월 평균 1∼3회가 42.3%로 가장 많고, 1회 미만 30%, 6회 이상 15.6%, 4∼5회 12.1% 등이 뒤를 이었다.



이 중 88.3%가 근무처의 악성 민원 대응 방법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76.3%는 소속 기관에서 적절한 조치가 없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이직할 의사를 갖게 된 이유(복수 응답)를 묻는 항목에서는 '악성 민원으로 인한 스트레스' 비율이 70%를 넘어섰다.

주요 악성 민원 내용은 △ 제도적으로 불가능한 민원 요구 △ 상습적 민원 △ 욕설이나 폭언 등 언어폭력 등이 꼽혔다.

악성 민원을 받은 후 겪은 후유증으로는 △퇴근 후에도 이어진 스트레스 △업무 집중력 감소 등 무기력함 △새로운 민원인을 상대하는 데 두려움 발생 등이 있었다.

공노총은 이날 국회에서 악성 민원으로부터 공무원을 보호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석현정 위원장은 "악성 민원이 공직사회 전반에 얼마나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지 이번 설문조사에서 증명됐다"며 "공무원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도록 정부와 국회에 요구한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을 마친 후 진행한 공무원 악성 민원 대책 마련 토론회에서 안정섭 공노총 수석부위원장은 "민원인의 위법행위는 '2018년 3만 4000여 건에서 매년 증가해 2021년 5만 건을 넘어섰다"며 "반면 이에 대한 기관 차원의 법적 대응은 2021년 12건에 그쳤다"고 비판했다.


안유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