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주요 판결마다 ‘김명수와 대척점’…보수 성향 ‘원칙론자’ 조희대

법조계서 ‘미스터 소수의견’으로 불리기도

대법관 퇴임 후 대학에서 후학 양성에 힘써

법조계 “엘리트 코스 거친 흠결 없는 인물”

정년으로 임기 절반 밖에 못 채워 부담도

조 후보자 “인사청문회 준비에 매진할 것”

조희대 전 대법관. 연합뉴스조희대 전 대법관. 연합뉴스




차기 대법원장 후보자로 지명된 조희대 전 대법관(66·사법연수원 13기)은 김명수 전 대법원장 체제에서 주요 사건 때마다 반대 의견을 보이며 대척점에 선 인물로 평가된다. 지난 9월 24일 김 전 대법원장 퇴임 이후 44일 만으로 대법원장 공백 사태가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야당의 동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적임자라는 평가다.

8일 법조계에 따르면 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조 후보자는 ‘원칙론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진보 성향인 김 전 대법원장 체제에서 대법관으로 재직하면서도 국정농단, 양심적 병역거부, 박근혜 정부 문화계 블랙리스트 의혹 등 주요 사건에서 꾸준히 소수의견을 내 법조계에선 ‘미스터 소수의견’으로 불리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2018년 11월 양심적 병역거부를 조건부로 인정한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양심의 자유가 병역의 의무에 우선할 수 없다. 헌법은 국방의 의무에 대한 일체의 예외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다.



관심사는 조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수 있을지 여부다. 대법원은 지난 9월 24일 김 전 대법원장 퇴임과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자의 낙마로 40일 넘게 수장이 공석인 상태다. 앞서 이 후보자는 비상장주식 재산신고 누락, 윤 대통령과의 친분 등으로 국회에서 임명동의안이 부결되면서 낙마했다.

관련기사



반면, 조 후보자는 28년간 법관으로 재직한 뒤 로펌에서 일한 경력이 없고, 대법원장 후보자로 꾸준히 거론될 정도로 법원 내에서 신망이 두터운 점도 후보자 지명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대법원장 장기 공석에 따른 재판 지연으로 결국, 피해가 국민들에게 돌아간다는 점도 야당 입장에선 부담이다. 2014년 대법관 후보 시절 여야가 만장일치로 조 후보자에 대한 청문보고서를 채택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법조계에서는 조기에 임명동의안이 채택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한 재경지법 판사는 “법원 내 엘리트 코스를 거친 만큼 실력을 인정받았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사적인 문제로 이슈화 되지 않을 만큼 흠결 없는 훌륭한 인물”이라고 평가하며 “이균용 후보자에 이어 새 후보자까지 낙마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 대통령실에서도 후보자 검증이 신중하게 이뤄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정년으로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는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법원장의 임기는 6년이며, 정년은 70세다. 조 후보자는 오는 2027년 6월 정년을 맞기 때문에 임기 중 절반 밖에 일할 수 없다. 다만, 민복기 전 대법원장 등이 정년으로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에 퇴임하는 등 역대 대법원장 가운데 임기를 채운 인물이 많지 않은 만큼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분석도 있다.

조 후보자는 이날 지명 소감으로 “인사청문회 준비에 매진하겠다. 추가적인 말씀은 추후에 드리겠다"고만 밝혔다. 오는 9일 오전 대법원장 권한대행 안철상 대법관을 접견하기 위해 대법원에 방문하는 자리에서 추가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최성욱 기자·박예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