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하철 탔는데 '빈대'가 옷에" 목격담 일파만파…전문가 의견 들어보니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최근 찜질방과 대학 기숙사 등 공공시설에서 빈대가 발견되면서 전국이 '빈대 공포'에 휩싸인 가운데 곳곳에서 빈대를 봤다는 ‘목격담’이 온라인상에서 확산하며 논란이 일고 있다. 그러나 대중교통에서 빈대가 증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양영철 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는 8일 전파를 탄 YTN '뉴스라이더'에 나와 "빈대는 끊임없이 움직이고 불빛마저 밝은 대중교통 자체를 싫어한다"며 "대중교통에서의 빈대 확산 혹은 증식 가능성이 희박한 만큼 공포심까지 가질 필요는 없다"라고 상황을 짚었다.

그러면서 양 교수는 최근 온라인상에서 퍼진 사진 속 벌레를 두고 "빈대가 맞다"면서 "빈대 밑에 혈흔이 까만 것으로 보아 흡혈한 지 이틀 정도 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양 교수는 이어 "이틀 전에 이미 누군가를 통해서 대중교통으로 옮겨졌고, 우연히 그분의 옷에 붙어 발견된 것으로 보인다"고도 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양 교수는 "빈대가 논란이 되고 있긴 하지만 우리나라 상황은 대중교통에 퍼져서 피해를 주는 그 정도의 수준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양 교수는 또한 "대중교통은 사람들이 계속 머무는 곳이 아니고 탔다 내렸다 하는 곳"이라며 " 따라서 빈대가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양 교수는 "빈대는 야간활동성으로 이른 새벽에 흡혈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낮 동안 밝은 곳에서는 적극적으로 활동하지 않는다"며 "지하철이 움직이면서 진동이 발생하고, 사람 체온이 느껴지니까 간혹 빈대가 틈새에 숨어 있다가 기어 나오는 경우는 있긴 하지만, 대중교통이 빈대가 번식·증식하는 수단으로는 이용되지 못한다"고 말했다.

여기에 덧붙여 양 교수는 "빈대가 옮겨붙지 않았을까 의심이 된다면 집에 들어가기 전에 현관에서 외투를 벗어 털어내면 된다"며 "털어내면 진동이 있기 때문에 빈대가 기어서 나와 뚝 떨어진다"고 했다.

그러면서 양 교수는 "안쪽 주머니도 뒤집어서 확인하고 털어낸다면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