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韓 AI인재 수 22위 그쳐…"美中전략 벤치마킹해야"

한경협, 한미중 AI 인재 전략 보고서

韓 AI 인재 2551명…전 세계 0.5% 수준

컨트롤타워 구축, 인재 영입 강화 등 주문

김대현 삼성전자 부사장이 8일 서울 서초구 서울R&D(연구개발)센터에서 열린 삼성 AI 포럼 둘째 날 행사에서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삼성 가우스’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김대현 삼성전자 부사장이 8일 서울 서초구 서울R&D(연구개발)센터에서 열린 삼성 AI 포럼 둘째 날 행사에서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삼성 가우스’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




한국의 글로벌 인공지능(AI) 인재 수가 전 세계 30개국 중 22위로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AI 강국인 미국·중국의 인재 양성·영입 전략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0일 발간한 ‘한미중 AI 인재 확보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AI 전문 연구 기관 엘리먼트AI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AI 전문 인재 수는 2551명으로 전 세계(47만 7956명)의 0.5%에 불과했다. 조사 대상인 30개국 중 22위 수준이다. 미국(18만 8300명·39.4%), 인도(7만 6213명·15.9%), 영국(3만 5401명·7.4%), 중국(2만 2191명·4.6%) 등에 크게 밀렸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한국이 AI 인재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미국·중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해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 △초중고 AI 기초 교육 강화 △해외 인재 영입 기반 정비 등을 보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교육부, 중국은 국무원·교육부가 범정부 차원에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4개 부처로 역할이 산재돼 있다. 보고서는 “대통령실이 컨트롤타워가 돼 AI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상황을 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양한 지원 제도로 컴퓨터 관련 교육을 집중하는 미국·중국처럼 초중고 AI 교육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 시수를 대폭 늘리고 교사 확보 및 국가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AI 교육은 전문성이 중요한 만큼 신규 교사 임용 시 AI 자격증을 필수로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AI 인재 확보를 위해 해외 인재 영입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은 현재 유입은커녕 AI 인재들을 미국·중국 등으로 뺏기고 있는 만큼 높은 급여와 매력적인 연구 환경을 제공하고 정부 차원의 비자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인재 영입에 힘써야 한다는 것이다.

추광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산업계에서는 AI 인재의 양적 부족에 더해 질적 미스매치 해소가 시급하다”며 “우수한 전문 강사를 많이 확보하고 초중고 단계별로 심화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AI 기초 교육을 질적으로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