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AI 스스로 모델 만들고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세상 온다…기술유출 방지책 마련해야"

무역협회·더밀크 '트렌드쇼 2024'

"AI가 '소비시장' 中 역할 대신할 것"

한국무역협회는 2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더밀크와 공동으로 ‘Trend Show 2024’를 개최했다. 사진제공=무협한국무역협회는 2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더밀크와 공동으로 ‘Trend Show 2024’를 개최했다. 사진제공=무협




인공지능(AI)이 향후 스스로 데이터를 수집‧가공해 모델을 만들고 인간에게 직접 추천까지 하는 ‘액셔너블(Actionable) AI’ 형태로 발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와 더밀크가 2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공동으로 개최한 ‘트렌드쇼 2024’에선 이와 같은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기업 관계자 400여 명이 참석한 해당 행사는 혁신적 기술과 경영 전략, 미래 비즈니스에 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개최됐다. 총 5개 세션으로 구성된 행사에선 △AI 기술이 인류에 미치는 영향 △2024년 경제 전망 △MZ세대의 소비 △CES 2024에서 주목해야 할 기술에 대한 발표 등이 진행됐다.

관련기사



이홍락 LG AI연구원 최고AI과학자(CSAI)는 ‘2024년 생성 AI 트렌드, 액셔너블 AI의 등장’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액셔너블 AI 개념을 소개하면서 “현재 챗GPT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범용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면, 앞으로는 배터리‧화학‧소재‧신약 개발 등 전문 영역에서 최고의 성능을 지닌 AI 개발이 가시화될 것”이라며 “AI가 편향성이나 안전성에 문제가 없도록 신뢰성 있는 고품질의 데이터를 학습하도록 하는 한편 기업 고객 기술 또는 영업 비밀 유출 방지를 위한 정교한 작업이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손재권 더밀크 대표는 ‘2024년 테크 빅트렌드 7’ 발표에서 “그간 중국이 세계의 공장이자 소비 시장으로 글로벌 경제 성장에 기여했던 것처럼 2024년 이후에는 AI가 중국의 역할을 대체할 것”이라면서 “AI가 자동화 로봇의 형태로 세계의 공장 역할을 수행한다면 기업은 관련 투자 확대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AI 적용 신제품 등장으로 새로운 소비 시장이 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명자 무역협회 디지털혁신본부장은 "앞으로 기술 발전과 비즈니스 트렌드를 소개하는 키플랫폼 행사를 통해 최신 정보와 신사업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스타트업의 성장 지원을 위한 역할에도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노우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