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비에이치아이, ‘울진 원자력수소 사업’ 참여 “원전+그린수소 역량 총동원”




(왼쪽부터) 김학홍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손병복 울진군 군수, 조수철 비에이치아이 부사장, 김오진 국토교통부 차관, 이지순 한국토지주택공사 지역균형발전본부장(왼쪽부터) 김학홍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손병복 울진군 군수, 조수철 비에이치아이 부사장, 김오진 국토교통부 차관, 이지순 한국토지주택공사 지역균형발전본부장



비에이치아이(083650)가 울진군과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조성 사업은 ‘동해안 수소경제 벨트’ 구축을 위한 핵심 사업 중 하나다. 총 사업비만 약 40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국가 프로젝트다.


이날 업무협약식에는 정부 기관을 비롯해 여러 국내 대기업들도 울진군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주요 정부 측 참여 기관으로는 △국토교통부 △경상북도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이 있다.

비에이치아이는 이번 업무협약을 발판 삼아 차세대 수소 생산 방식 중 하나인 ‘원자력수소’ 분야에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마련할 방침이다. ‘핑크수소’로도 잘 알려진 원자력수소는 가동 원전에서 발생하는 전기와 고열을 활용해 만들어지는 청정수소를 뜻한다.


원자력수소 방식은 현존하는 청정 수소 생산 방식 중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꼽히고 있다. 원전에서 생산된 증기와 전기를 이용해 고온수전해(650~850℃)할 경우 가열 및 수전해에 필요한 에너지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고체산화물(SOEC) 수전해 방식과는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

관련기사





비에이치아이는 원자력 발전소 설계 및 시공 분야에서 오랜 업력 기반, 높은 기술력과 관련 장비에 대한 해박한 이해도를 보유하고 있다. 미래 먹거리로 그린수소 분야를 낙점하고 일찍이 ‘알카라인 수전해(AEC)’ 및 ‘고체산화물 수전해’ 시스템에 대한 자체 연구·개발(R&D)을 진행 중이다.

비에이치아이 관계자는 “울진은 가동 중인 원전만 7개(울진 1~6호기, 신한울 1호기)에 달하며 추가로 3기(신한울 2~4호기)가 더 들어서는 원전 클러스터”라며 “울진 원자력수소 산단 조성 사업은 이를 활용, 청정수소를 대량 생산해 포스코제철소와 울산석유화학단지 등 대규모 수요처에 공급하고 국가수소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추진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비에이치아이는 원전과 그린수소 두 분야 모두에서 사업을 전문적으로 영위하고 있는 만큼 관련 역량을 총동원해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에이치아이는 안산 수소시범도시에서 대규모 그린수소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비에이치아이는 1.25MW급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구축해 시간당 200N㎥ 이상의 수소를 생산할 예정으로, 이를 통해 그린수소 생산 및 EPC(설계·조달·시공) 노하우를 확보할 방침이다.




박상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