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현희 표적 감사’ 유병호 15시간 소환조사…공수처, 감사원장도 부르나

혐의 부인…“감사 시스템 설명”

최재해 감사원장 소환도 고려

전현희 전 국민권익위원장에 대한 '표적 감사' 주도 의혹을 받는 유병호 감사원 사무총장이 9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앞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전현희 전 국민권익위원장에 대한 '표적 감사' 주도 의혹을 받는 유병호 감사원 사무총장이 9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앞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현희(59) 전 국민권익위원장의 사퇴를 압박하기 위한 ‘표적 감사’를 주도했다는 의혹을 받는 유병호(56) 감사원 사무총장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서 15시간 넘게 조사를 받았다. 공수처는 유 사무총장 추가 수사 여부와 최재해 감사원장에 대한 소환 등도 검토하고 있다.



유 사무총장은 9일 오전 9시50분께 공수처가 있는 정부과천청사에 출석해 자정을 넘긴 10일 오전 1시9분께 조사를 마치고 청사에서 나왔다.

관련기사



유 사무총장은 조사에서 어떤 부분을 주로 소명했냐는 취재진 질문에 “감사 시스템에 대해 아주 성실하게 설명했다”고 답했다. 반면 ‘표적 감사’를 주도했다는 혐의는 어떻게 소명했는지, 추가 소환조사 요청을 받았는지 등 질문에는 대답하지 않았다.

이날 조사에는 차정현(45·사법연수원 36기) 부장검사가 360여쪽에 이르는 질문지를 준비해 전 전 위원장에 대한 비위 제보 입수 및 특별감사 착수 과정, 감사 결과 보고서 결재·공개 과정 등에 위법 행위가 있었는지 따져 물었다. 유 사무총장은 전 전 위원장에 대한 감사가 “법규·관행에 따른 정당한 감사였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감사원은 전 전 위원장이 직원 갑질로 징계받게 된 권익위 국장의 선처를 구하는 탄원서에 서명하는 등 부적절한 행동을 했고, 세종청사에서 근무한 89일 중 83일을 오전 9시 이후 출근했다는 내용 등이 포함된 감사 결과 보고서를 지난 6월 공개했다. 전 전 위원장은 해당 감사가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자신의 사퇴를 압박하기 위해 허위제보를 바탕으로 이뤄진 표적 감사라고 반발하며 고발장을 접수했다.

감사 결과 발표 후에는 주심인 조은석(58) 감사위원이 자신의 최종 검수를 거치지 않은 채 보고서가 공개됐다며 감사원 관계자들을 추가 고발했다. 더불어민주당, 시민단체 등의 고발도 이어지면서 공수처에 접수된 관련 고발만 20여건이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천민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