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초학력 '뚝'…내년부터 7개 학년 학업성취도 평가

내년 2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시행

기초학력 떨어지고 사교육비 늘자

초6·중3·고2→초3·5·6, 중1·3, 고1·2로 확대

향후 초3~고2까지 전 학년으로 늘릴 계획

연합뉴스연합뉴스




학생 개개인의 학업 수준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 실시되고 있는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 대상이 현재 3개 학년에서 내년부터 초·중·고 7개 학년으로 늘어난다. 기초학력을 끌어올리고, 평가를 위해 지출하는 사교육 비용을 줄이기 위한 포석이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를 내년 2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시행한다고 13일 밝혔다.



맞춤형 학업성취도평가는 일제고사로 불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는 별개의 평가로, 학교(급)별로 자율적으로 신청해 치르는 진단평가다. 지난해와 올해에는 초6, 중3, 고2만을 대상으로 했으나 내년부터는 초3·5·6, 중1·3, 고1·2로 평가 지원 대상을 늘렸다. 지난해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전수평가에서 표집평가로 전환된 17년과 비교해 3배 가량 늘어나는 등 학력 저하 문제가 심각해졌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교육부는 책임교육 학년으로 지정된 초3, 중1은 시도교육청과 협의해 전체 학생이 학력을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초3, 중1의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여부를 시도교육청 평가에 반영할 계획이다.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에 참여하려는 학교는 학급 단위로 희망하는 날짜를 선택해 내년 1월 9일부터 평가 시행 2주 전까지 신청하면 된다. 초3은 문해력과 수리력 등 2개 교과 진단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나머지 학년은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고2는 국어, 수학, 영어)과 함께 사회·정서적 역량을 진단받는다.

평가는 컴퓨터 기반 평가(CBT) 방식으로 실시되며, 학생은 학교에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등을 통해 시험에 참여할 수 있다. 평가 결과는 교과별 성취 수준(최저 1수준∼최고 4수준)과 정밀한 학업성취 정보를 담아 학교(급)에 제공되며, 학교는 진단 결과를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교육부는 향후 학력 진단 대상은 초3~고2까지, 진단 결과 이후 지원 받는 중점 학습 대상은 현재 '기초학력 미달' 학생에서 2025년에는 '중·하위권' 학생까지 늘릴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업성취 수준 진단 결과를 토대로 정규수업 및 방과후 연계 지도, 기초학력지도강사(튜터링) 지원, 방학 중 학습도약 계절학기 운영 등 체계적인 맞춤 학습을 제공해 기초학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