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고금리 여파에 부실기업 231곳…10년 만에 최대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올해 부실 위험에 빠진 기업이 231곳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18일 채권은행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벌인 결과 올해 부실징후기업이 231곳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관련 통계 조회가 가능한 2014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년(185곳)과 비교하면 한 해 만에 46곳이나 늘었다.

관련기사



부실징후기업은 외부의 자금 지원이나 별도의 차입 없이는 빌린 돈을 상환하기 어렵다고 채권은행이 판단한 기업이다. 채권은행은 부실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A~D등급으로 구분한 뒤 C·D등급을 부실징후기업으로 본다.

주목할 만한 대목은 부실징후를 보인 기업 중 재무기반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빠르게 늘고 있는 점이다. 부실징후 중소기업은 올해 222곳으로 지난해보다 39 곳이나 늘었다. 전년 대비 증가 추이를 보면 2021년 이후 4곳, 26곳, 39곳으로 매해 급등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부실징후기업 가운데 법정관리 대상인 D등급 중소기업이 절반(111곳)에 달하는 점도 우려스럽다. 부실징후기업 중 대기업은 9곳으로 전년보다 7곳으로 늘어났다.

금감원은 “코로나 기간 중 부실징후기업 수가 감소했다가 2022년부터 증가추세로 전환했다”면서 “2022년에 이어 대내외 경기부진 및 원가상승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2023년 들어 금리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 등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