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요금 조정 2년 정례화 등 부산 택시운송사업 발전 시행계획 추진

단시간 근로제, 운행기록 영상저장장치 설치 지원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추진 예정…시책 고도화도 병행

부산시청 전경. 사진제공=부산시부산시청 전경.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가 고사위기에 내몰린 택시업계를 활성화 하기 위해 요금 조정 2년 정례화, 단시간 근로제, 운행기록 영상저장장치 설치 등을 추진한다.



부산시는 택시산업 활성화 방안 등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택시운송사업 발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내년부터 이를 연차적으로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해당 용역은 정부 정책과 연계한 택시업계 위기 극복 방안을 마련하고자 지난 3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됐다.



택시운송사업 발전 시행계획은 택시업계 자생력 강화, 안전성 편리성 증대, 데이터 기반 서비스 강화 등 3대 추진과제와 16개 세부 추진전략으로 구성됐다.

관련기사



시는 택시업계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한 추진전략으로 택시요금 조정 2년 정례화, 택시 기사 근로 형태 다양화(단시간 근로제), 택시 공영차고지 조성, 택시 표시등·실내 미디어바 설치 등 차량 유료 광고 구역 확대, 희망키움사업 확대 등 청년고용 확충, 택시쉼터 확충, 친환경 전기차 도입 지원 등을 추진한다.

안전성과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택시 플랫폼 기반 서비스 활성화, 교통약자 대상 이동서비스 공급 확대, 택시 서비스 평가 의무화, 무사고·무음주·무범죄에 대한 착한 택시 인증제, 고령 기사 의료적성 검사비 지원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택시운행정보관리시스템(TIMS)을 활용하고 택시 실내외 운행기록을 영상으로 저장하는 장치를 지원하는 등 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강화한다. 감차사업과 연계한 수요기반 총량관리체계도 도입한다.

시는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 각계 인사로 구성된 ‘택시발전 원탁회의’를 운영하면서 택시업계 경영개선을 지속해서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코로나19 장기화 이후 승객 감소에 따른 택시업계 경영난과 첨단기술, 대중교통 발달 등 모빌리티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택시운송사업 발전 시행계획을 마련했다”며 “내년부터 시행계획을 추진해 택시업계 활성화와 서비스 질 향상으로 시민의 만족도가 높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