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근로자의 임금과 복지 격차가 6년 만에 최대치로 벌어졌다. 올해는 고물가와 경기 악화로 인한 실질임금 마이너스 상황이 이어지면서 저임금 근로자에 대한 생계 우려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21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2년 회계연도 기업체노동비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상용 근로자 10인 이상 기업체의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은 601만6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했다. 노동비용은 임금과 같은 직접노동비용과 퇴직급여, 4대 보험료 등 간접노동비용으로 구성된다. 작년 이들 기업에서 근로자 1명을 고용하는데 평균 월 601만6000원이 필요했다는 얘기다.
이번 조사 결과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과 복지 격차 차이가 크다는 점을 다시 확인하게 했다. 통상 대기업으로 분류되는 근로자 300인 이상 기업체의 월 평균 노동비용은 760만8000원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한 반면, 300인 미만 기업체의 월 노동비용은 480만3000원으로 0.7%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그 결과 300인 이상 기업체의 노동비용을 100으로 했을 때 300인 미만 기업체의 노동비용은 63.5에 불과할 정도로 차이가 벌어졌다.
이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격차 지표는 2016년 63을 기록한 이후 작년 가장 악화됐다. 이 수치는 매년 개선돼 2020년 70.3까지 올랐다. 하지만 2021년 67.3에 이어 지난해 63.5로 2년 연속 하향세다.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임금 격차 차이는 상여금과 성과급 차이에서 비롯된다. 작년의 경우 300인 이상 기업체는 월 148만6000원을 받았다. 하지만 300인 미만은 이 수준의 22.1%(32만8000원)에 불과했다. 대기업이 중소기업 보다 성장세와 임금 지급 능력이 더 높다는 점에서 이 차이는 쉽게 좁혀지기 어렵다.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복지 차이도 현격하다. 300인 이상 기업체의 복지비용은 월 40만1000원으로 300인 미만 기업체 보다 3배 가량 높았다.
우려는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양극화 못지 않게 올해 중소기업 근로자의 상황이 어렵다는 점이다. 고용부가 최근 발표한 사업체노동력조사에 따르면 상용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1~9월 월 평균 실질임금은 356만3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다. 실질임금은 물가를 반영하는데, 소비자물가지수가 3.7%로 오르는 동안 명목임금이 2.5% 밖에 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고용부는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임금 격차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고용 시장 변화에 기인한 측면이 있다는 입장이다. 이 격차 확대가 일시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작년의 경우 코로나19 사태를 벗어나면서 300인 미만 기업체 중 낮은 노동비용 산업에서 근로자가 늘었다”며 “300인 이상 기업체 중 금융보험업 노동비용이 크게 오른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