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당정 갈등에도 한동훈 ‘잘했다’ 44%…부정 평가 앞질러

■서울경제·한국갤럽 정기 여론조사

6%P 격차로 한동훈 '한 달'에 긍정 평가가 더 많아

이재명 대표 체제 민주당에 贊46% vs 反45% '팽팽'

이 대표, 30~50대서 지지도 높지만 20대 반대 많아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해 현안에 관해 발언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해 현안에 관해 발언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




대통령실과의 갈등으로 사퇴론까지 직면했던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한 평가를 놓고 ‘잘했다’는 응답은 44%로 부정적 평가보다 오차 범위 내에서 우세했다. 반면 이재명 대표 체제로 더불어민주당이 대선을 치르는 것에 대한 찬반 여론은 각각 46%와 45%로 대등해 향후 야당의 총선 행보에 적잖은 내홍을 예고했다. 한 위원장은 20대와 60대 이상에서, 이 대표는 30~50대에서 높은 호응을 얻고 있어 여야의 향후 총선 전략에 시사점을 준다는 분석이다.



서울경제신문이 여론조사 기관인 한국갤럽에 의뢰해 25~2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동훈 비대위원장 취임 한 달’에 대한 긍정과 부정 평가는 각각 44%와 38%로 나타나 “잘했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여론조사 시점이 당정 갈등으로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가 나온 이후여서 한 위원장의 리더십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것을 시사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한 위원장에 대한 20대의 기대가 높게 나타났다. 세대별 응답에서 20대의 한 위원장에 대한 긍정 평가는 35%로, 오차 범위 내에서 부정 평가(33%)를 상회했다. 국민의힘 지지 기반이 약한 30~50대에서는 한 비대위원장에 대한 부정 평가가 4~17%포인트 많지만 국민의힘 전통 지지층인 60대는 55%, 70대 이상은 66%로 한 위원장에 대한 지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도층 여론은 한 위원장에 대한 긍정과 부정 평가가 각각 39%와 40%로 팽팽하게 갈렸다. 자신을 국민의힘 지지층이라고 밝힌 응답자들의 경우 긍정 평가가 85%로 한 위원장에 대한 압도적 성원을 보였다. 취임 한 달을 갓 넘긴 한 위원장에 대해 우호적 평가가 많은 것은 그의 외연 확장 시도가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최근 당정 갈등에 따른 위기를 봉합한 데 이어 총선을 앞두고 한동훈 체제를 강화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민주당이 이 대표 체제로 총선을 치르는 것에 찬성하느냐’는 질문에는 찬성과 반대가 각각 46%와 45%로 나타났다. 세대별로는 이 대표에 대한 찬성 여론이 30대 47%, 40대 64%, 50대 51%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지만 20대와 60대 이상에서는 반대 여론이 찬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는 이 대표에 반대하는 응답이 48%로 찬성(37%)을 크게 앞질렀다. 이는 이 대표에 부정적 평가가 많은 60대 이상에서 찬반 격차인 5%포인트 보다 훨씬 큰 것이다.

중도층에서는 민주당의 이 대표 체제에 대해 찬성과 반대가 각각 45%로 비슷했다. 다만 민주당 지지층의 84%는 이 대표 체제에 찬성 의견을 피력해 민주당 내 이 대표의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번 서울경제·한국갤럽의 5차 정기 여론조사는 25~26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1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오차 범위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다.

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한 휴대폰 가상(안심)번호 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5.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김예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