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직원 60% R&D업무 투입…中 배터리 장비에 10년 앞서" [줌업 CEO]

김종성 엠플러스 대표

2차전지 공정 자동화솔루션 제공

양·음극판 조립 생산성 5배 개선

기술력 앞세워 中 저가공세 돌파

신규고객 확보 올 수주 20% 늘것

2030년 '매출 1조' 달성 부푼꿈

김종성 엠플러스 대표가 29일 서울 종로구 서울경제신문 본사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김종성 엠플러스 대표가 29일 서울 종로구 서울경제신문 본사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전기차 업황이 나빠졌지만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새 고객을 확보해 돌파구를 찾겠습니다. 올해 수주 실적을 지난해보다 20% 늘리고, 2030년에는 매출 1조 원을 달성하겠습니다.”



김종성(사진) 엠플러스(259630) 대표는 29일 서울 종로구 서울경제신문 본사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배터리 시장에서 ‘토탈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도약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2003년 설립한 엠플러스는 충북 청주에 본사·공장을 둔 2차전지 장비 전문 제조 업체다. 글로벌 배터리 셀 제조사를 대상으로 자동화 생산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특히 배터리 부품을 자르고 쌓고 용접하는 등 일련의 조립 공정 관련 장비 분야에 강점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 대표는 “배터리 안에 들어가는 양극판·음극판을 안정적이면서도 빠른 속도로 쌓을 수 있는 기술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면서 “이 기술을 처음 개발했을 당시에는 분당 60장 적재가 가능했는데 지금은 300장으로 생산성을 5배나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엠플러스의 배터리 스태킹(적재) 장비. 사진 제공=엠플러스엠플러스의 배터리 스태킹(적재) 장비. 사진 제공=엠플러스




엠플러스는 국내와 해외를 합쳐 총 82건의 특허권을 등록했고 34건을 출원한 상태다. 끊임없는 기술 혁신의 비결은 우수한 연구 인력이다. 전체 임직원 364명 중 연구·개발(R&D) 담당 인력이 208명으로 약 60%를 차지한다. 이중 핵심 연구진은 삼성SDI 출신이며 20년 이상 2차전지 분야 한 우물만 파왔다. 김 대표는 “제조업 연구 인력을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며 “연 매출의 5% 수준을 R&D에 투자해 연구진 교육과 선행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중국 장비 업체들과의 경쟁에서도 기술력을 무기로 앞서나가겠다는 각오를 드러냈다. 김 대표는 “중국에선 2010년대에 들어서야 2차전지 자동화 장비를 생산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기술 격차가 10년이나 된다”면서 “중국의 저가 수주로 인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매년 신규 고객사를 5~6곳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엠플러스는 2022년과 2023년 2년 연속으로 3000억 원 이상 수주했다. 올해 수주액은 전년 대비 20% 수준 늘리겠다는 목표다.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업체들이 수요 둔화로 인해 투자를 줄이는 와중에도 실적이 성장할 것이라는 게 김 대표의 전망이다.

그는 “배터리 장비 시장은 당장의 시황보다는 미래의 공장 가동 시점에 더 영향을 받는다”면서 “3년 후 2차전지 시장을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글로벌 업체들이 잇따라 장비 발주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차세대 전지인 전고체 배터리, 리튬메탈 배터리 관련 장비도 개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2030년 매출 1조 원을 일궈내겠다는 과감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로 전년 동기 대비 340% 급증한 1958억 원을 기록하는 등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올라탔다는 판단에서다. 수주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공장 증설도 추진 중이다. 현재 청주 국사산업단지(센트럴밸리) 내 5만 2894㎡ 규모의 부지를 매입한 상태다. 김 대표는 “지금 가동 중인 자사 공장 부지의 3배 규모를 확보했다”면서 “설비 증설 및 R&D 투자를 확대하고 주요 배터리 시장인 유럽과 미국에서 영업력을 집중해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혁 기자·사진=성형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