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이 주식시장 침체를 막기 위해 9년 만에 신규 주식공개(IPO) 중단 카드를 꺼내 들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연초부터 증시 하락을 방어하기 위해 각종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약발이 전혀 먹히지 않고 있어서다. 과거처럼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IPO를 억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지만 중국 경제의 펀더멘털이 바뀌지 않는 한 임시방편에 그칠 것이라는 회의론이 적지 않다.
30일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 등에 따르면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 규제 당국이 과거 주식시장 폭락기와 마찬가지로 IPO를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은 1994년 이래 2015년까지 모두 9차례에 걸쳐 IPO를 전면 중단하거나 심사를 강화해 상장기업 수를 조절했다. 최근 사례로는 2015년 7월 4일부터 같은 해 11월 6일까지 125일 동안 IPO를 제한한 사례가 있다. 당시 6월 중순부터 시장에 불안정성이 확산되며 상하이종합지수는 불과 20여 일 만에 5100포인트에서 3800포인트까지 급락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주식시장 약세를 막으려 각종 대책을 내놨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는 상태다.
지난해 8월부터 주식 거래 인지세 인하, 비공식적 규제 강화를 통한 IPO 제한, 증거금 조달을 통한 주식 매입 최저증거율 인하 등을 내놨다.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는 12월에 시장 신뢰도 제고를 목표로 상장기업의 자사주 매입과 현금 배당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발표했다. 이 같은 조치에도 시장의 불안감을 가라앉히는 데는 실패했다.
올 들어서는 23일 중국 당국이 증시 부양을 위해 2조 위안(약 370조 원)의 증시 안정 기금을 동원할 것이라는 블룸버그통신의 보도까지 나왔다. 급기야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다음 달 5일부터 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인하해 주식시장 등에 장기 유동성 1조 위안(약 185조 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증감위는 28일부터는 일정 기간 제한된 주식의 대여를 전면 금지해 주가 하락을 유도하는 공매도를 막겠다고도 발표했다.
이 같은 일련의 조치에도 증시가 상승 동력을 얻지 못하자 시장에서는 IPO 중단 카드를 꺼내 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기대만큼 효과를 볼 수 없을 것이라는 회의론이 만만치 않다. 한 증권사 임원은 “시장이 좋을 때는 IPO가 많아지고 하락할 때는 IPO가 적어지는 것이 정상”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9차례의 IPO 중단 및 심사 강화에도 상하이지수는 5번 하락하고 4번 상승했다. 더구나 현 상황은 중국 경제의 기초 체력이 크게 떨어진 만큼 어떤 대책이 나오더라도 땜질 처방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편 중국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는 전날 중앙기업, 지방국자위 업무회의에서 ‘상장기업 시가총액 관리’를 핵심성과지표(KPI)로 전면 활용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중국 상하이증시 시가총액의 약 40%를 차지하는 국유기업의 주가 관리를 통해 상장기업의 주가를 끌어올리겠다는 노림수로 풀이된다.
중국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허리펑 부총리는 주요 시 당국을 겨냥해 부동산 시장 침체를 완화하기 위해 중앙정부에서 마련한 조치를 준수하라고 압박하고 나서기도 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허 부총리가 전날 한 회의에 참석해 “부동산 산업을 위한 금융 조정 메커니즘을 수립하고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적시에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그는 베이징에서 열린 상장기업 발전 촉진을 위한 전국 화상회의에서 “상장기업은 고품질 경제 발전을 위한 중요한 미시적 기반”이라며 적극 지원을 촉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