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바이든 정부, 폐쇄 원전 재가동에 2조원 대출 지원

“노후 발전소 활성화 위한 IRA 따른 조치”

지역 전력회사에 3분의2 판매 계약도 체결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클레멘테 인근 샌오노프레 핵발전소에 있는 사용후 연료 저장고 모습. 로이터연합뉴스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클레멘테 인근 샌오노프레 핵발전소에 있는 사용후 연료 저장고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폐쇄 원자력 발전소를 재가동하기 위해 대출 지원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2035년까지 전력망의 탈(脫)탄소화를 내세운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적극적 기후 위기 대응책의 일환이다.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미국 에너지부(DOE)가 미시간주 소재 805메가와트(㎿) 규모 팰리세이드 원자력발전소를 재가동하기 위해 원전 소유기업 홀텍인터내셔널에 오는 2월 약 2조원 규모의 대출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자금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포함돼있는 노후 원전 활성화를 위한 에너지부의 대출 보증 프로그램으로부터 지원된다.

관련기사



지난 2013년 이후 미국 내 12개의 원전은 가스와 재생에너지 등과의 경쟁으로 폐쇄됐다. 팰리세이드 원전도 지난 2022년 에너지기업 엔터지가 재정적인 이유로 가동 51년만에 문을 닫았다. 이후 원자력기업 홀텍이 이 원전을 인수했으며 당초 해체할 목적이었으나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 주지사의 요청으로 재가동 계획을 추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팰리세이드 원전 재가동에 대출이 이뤄질 경우 바이든 정부가 처음으로 원전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사례가 된다”고 덧붙였다. 닉 컬프 홀텍사 대변인은 “이것은 미국과 미시간주에 역사적인 기회”라며 “우리가 화석연료에서 멀어짐에 따라 원자력은 기후 목표 달성은 물론 모든 전등을 켤 수 있도록 확실하게 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홀텍은 미시간주 지역 전력회사인 울버린전력협동조합에 2025년부터 발전소가 생산하는 전력의 3분의 2를 판매하는 계획을 체결한 상황이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