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하천 유입 해양쓰레기 줄인다"…해수부, 실무협의회 구성

해양쓰레기 65%가 하천 통해 유입

유입 사전 차단·정화활동 기간 운영

해양 쓰레기의 모습. 이미지투데이해양 쓰레기의 모습. 이미지투데이




해양수산부가 하천을 통해 바다로 유입되는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하천 권역별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운영한다.



해수부는 13일 하천 쓰레기의 해양 유입을 줄이기 위해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섬진강 등 5대 하천·하구별로 관련 기관들이 참여하는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3월 중 권역별 첫 회의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관련기사



협의회에서는 홍수기가 오기 전 합동으로 정화활동 기간을 운영한다. 또 집중 호우기 등 하구둑 수문을 개방할 경우 발생하는 해양쓰레기에 대해 대응 지침을 마련하는 등 해양유입 쓰레기 저감을 위해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우리나라의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연간 14만 5000만 톤 수준으로, 이 중 하천을 통해 바다로 유입되는 쓰레기는 연간 8만 7000톤이다. 전체 해양쓰레기 발생량의 약 65%가 하천을 통해 유입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태풍, 집중호우 등 이상기후 현상이 증가하면서 하천을 통한 쓰레기의 해양 유입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번 대책은 쓰레기의 해양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고, 기존에 유입된 쓰레기를 체계적으로 수거하는 등 하천쓰레기 관리체제를 확립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한다. 이를 통해 2027년까지 하천쓰레기의 해양유입량을 6.5만 톤 수준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수부는 그간 지자체 등과 협력해 해양쓰레기를 수거·처리해왔다. 지난해 12월에는 해양쓰레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하천쓰레기 해양유입 저감대책’을 마련하기도 했다.


세종=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