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기업 대신 의대 갈래”…의대 열풍에 연고대 첨단분야 계약학과 등록포기 급증

연대 계약학과 92% 미등록

고대는 미등록률 전년비 4배로 뛰어

연세대학교 캠퍼스. 연합뉴스연세대학교 캠퍼스. 연합뉴스





올해 대입 정시에서 대기업 취업이 보장되는 연세대·고려대 첨단분야 계약학과 미등록률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에 중복 합격한 학생들이 등록을 포기하면서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14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4학년도 대입 정시모집에서 삼성전자 계약학과인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의 정시 최초합격자 중 미등록 비율은 92.0%로 지난해(70.0%)보다 22.0%포인트 높아졌다. 또 다른 삼성전자 계약학과인 고려대 차세대통신학과는 최초 합격자 10명 중 7명이 등록을 포기해 미등록률이 70%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16.7%)보다 4배 이상 오른 수치이다. 다른 계약학과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현대자동차 연계 계약학과인 고려대 스마트모빌리티학부는 최초합격자 20명 중 13명(65.0%)이 등록을 포기했다. 이 역시 지난해 등록 포기율(36.4%)의 배에 달한다. SK하이닉스 연계 계약학과인 고려대 반도체공학과는 10명 중 5명(50.0%)이 등록을 하지 않았다. 지난해(18.2%) 등록 포기 비율보다 3배가량 높았다. 계약학과는 대학이 기업과 계약을 맺고 기업이 요구하는 특정 분야를 전공으로 개설한 학과를 말한다. 졸업 후 취업이 보장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연고대 이공계열 합격생은 의대·서울대 등에 동시 합격해 빠져나갔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